8년 전부터 다시 '승진 거부권' 논란이 제기되는 가운데, '만년 부장'이라는 표현이 오히려 긍정적인 의미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4050세대 직원들은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월급과 낮은 책임을 가진 현실적인 직책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낮은 직급에서 정년까지 '가늘고 길게' 생활하는 것을 꿈꾸는 직원들의 증가는 기업에게도 새로운 고민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회사관심The Company를 내 관심에도 추가해드렸어요. 올해 대기업 임금단체협상에 ‘승진 거부권’이 다시 등장했다. 시작은 8년 전이었다. 현대자동차 노동조합 은 2016년 “대리에서 과장으로 승진하면 조합원 자격이 없어지고 성과연봉제를 적용받는다”며 승진을 거부할 권리를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해 HD현대중공업 노조도 같은 요구를 했다. 그때 무산됐던 승진거부권이 올해 다시 HD현대중공업 노사 협상 테이블에 올라왔다. 사측은 인사권에 대한 과도한 요구라며 난감해 한다. 그런데 8년 사이 분위기가 좀 달라졌다. 여느 직장인들 사이에서도 ‘이젠 승진을 거부할 권리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생겼다. 기업 인사담당자들도 ‘만년 차장’ ‘만년 부장’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는 걸 체감하고 있다고 한다. 가늘고 길게 회사에 다니고 싶다는 한 대기업 의 40대 직장인은 “우리 같은 사람들을 ‘젖은 낙엽’이라고 부른다.
신발 밑창에 딱 붙어서 승진자를 찾을 때도, 희망퇴직자를 찾을 때도 눈에 띄지 않고 싶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가 4050세대에만 있는 건 아니다. 2030대인 Z세대도 ‘의도적 언보싱(conscious unbossing, 승진 회피 및 지연)’을 한다. 다만 4050세대의 임원 포기 이유와는 좀 차이가 있었다. 임원 포기나 보직 기피는 시대적 흐름일까, 경영의 실패일까. 더컴퍼니에서 임포자·승포자(임원·승진 포기자)들의 속마음을 들어봤다. 목차 1. “부장 월급으로 정년까지” 가늘고 길게 2. “팀장 되기 싫어요”… ‘의도적 언보싱’ 왜 3. 고민에 빠진 기업들, 대책은 4. 바보야, 문제는 임금체계야 1. “부장 월급으로 정년까지” 가늘고 길게 ▶‘만년 부장’은 루저? 그건 옛말 대형 건설사에 다니는 A씨(54)는 ‘부장급 사원’이다. 비슷한 연배의 임원도 많지만 그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A씨는 “임원을 안 달면 60세 정년까지 월급이 보장된다”며 “임원이 되면 책임져야 할 게 많아져 부담스럽고, 이 나이에 상사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애쓰는 것도 피곤해서 싫다”고 말했다. 요즘 기업에선 ‘만년 차장’ ‘만년 부장’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임원 승진에 실패한 루저라는 건 옛말, 후배가 임원을 달고 상사가 되면 굴욕적으로 여기고 퇴사하는 풍경도 모두 옛날 일이다. 오히려 자기 의지로 임원되기를 거부하는 임포자, 승진을 포기하는 승포자들이 늘고 있다. ‘임원은 임시직원’이라는 말처럼 매년 재계약 여부에 마음을 졸이느니, 낮은 곳에서 정년까지 조용히 다니는 게 낫다는 인식이 퍼진 탓이다. 김경진 기자 최근 대기업 임원 연령이 낮아지면서 40대 팀장급이 되면 임원 승진 가능성이 대략 결정된다. 에너지업계 대기업에서 현재 팀장(차장급)을 맡은 B씨(45)는 ‘가늘고 길게’ 직장 생활을 하는 게 꿈이다. 그는 “40대 팀장이면 임원 후보군이 될 수 있는데, 요즘 팀장 중엔 임원 되고 싶어하는 사람이 60%, 정년까지 다니고 싶은 사람이 40% 정도”라며 “이제 겨우 초등학생인 애들의 대학 진학·취직·결혼까지 생각하면 60세 이후에도 돈을 벌어야 해 최대한 오래 일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대기업이 제공하는 자녀 대학 등록금, 종합건강검진 지원 등 직원 복지도 정년 채우기를 원하는 이유 중 하나다
임금 승진 대기업 노동조합 임원 회사 경영 복지 인사 직원 사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BTS 세계관 핵심은 꿈·행복·사랑 등…사회 병폐 개선도 촉구'(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노래로 구현한 세계관의 핵심은 꿈, 행복, 사랑, 사회 병폐 타파, 위로·감사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정치 삼성에 부정적”...삼성은 이제 따라올수 없다며 ‘이 회사’ 창업자가 밝힌 ‘약점’이건희 전 삼성 회장이 정치를 우리 정치를 삼류라고 한 일화는 유명하다. 삼성전자를 시가총액으로 저만치 앞서나간 대만 TSMC 창업자가 삼성의 기술과 함께 한국 정치를 비판해 화제가 되고 있다. 10일 대만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업체 TSMC 창업자인 모리스 창은 지난 9일 자신의 자서전 기념 기자회견에서 TSMC와의 경쟁에서 뒤처진 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과 삶] 윤석열이 ‘제정신’이 아닌 이유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국민에게 ‘이해 불가능의 대상’이다.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에 계엄군을 투입하고도 “대통령의 통치 행위”라고 주장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만년 부장, 퇴사, 임원 포기…시대가 바뀐 그 이유대기업에서 '승진 거부권'이 다시 등장했다. 8년 전 무산된 승진거부권이 올해 HD현대중공업 노사 협상 테이블에 다시 등장했다. 기업 인사담당자들도 '만년 차장' '만년 부장'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는 걸 체감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승진 거부권, 만년 차장·부장의 꿈올해 대기업 임금단체협상에서 '승진 거부권'이 다시 등장했다. 임원 승진에 대한 부담과 '정년까지 월급 받기'라는 목표로, '만년 차장' '만년 부장'이 선호하는 추세가 떠오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야 협의 없이 단독 통과된 내년도 예산안민주당이 주도한 내년도 예산안이 여야 협의 없이 통과되면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증액이 아닌 감액만 이루어졌습니다. 이 준우 위원과 장현주 부위원장은 이에 대해 논의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