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의 최신 모델이 물리학 문제 해결 능력에서 미국 오픈AI 대표 모델인 챗GPT를 넘어섰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 국영 연구소인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가 주최한 '톈무 이론물리 경시대회'에서 딥시크는 140점 만점에 100점을 받아 1등을 차지했다. 반면 챗GPT는 97점, 클로드 소넷은 71점을 얻었다.
중국 국영 연구소인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는 지난 30일 소셜미디어 공식 계정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과학 수재들이 경쟁하는 경시대회 문제로 AI를 실험한 결과를 이날 공개한 것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장쑤성에서 열린 '톈무배 이론물리 경시대회'에서 출제된 문제를 딥시크의 R1, 오픈AI의 GPT-o1, 앤스로픽의 클로드 소넷 등 3개 AI 모델에 풀게 했다. 이후 문제 답안을 실제 경시대회 채점위원단에게 전달했다. 그 결과 140점 만점에 딥시크가 100점으로 1등을 차지했으며 챗GPT이 97점, 클로드 소넷이 71점을 각각 받았다. 이번 대회 참가자들과 비교했을 때 딥시크는 3등 수준의 성적으로, 인간 최고점인 125점과는 격차가 컸다. 연구소는"AI 응답을 통해 시험 진행 방식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한 후 시험을 시작했다"면서"총 문제 7개에 대해 순차적으로 답안을 받았으며, 답안에 대해서는 중간에 어떤 피드백도 제공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연구소는 각 AI 답안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연구소는"딥시크와 비교하면 챗GPT의 답안은 인간이 작성한 것과 더 유사한 스타일을 보였다"면서"챗GPT가 증명 문제에서 더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했다.또"클로드 소넷은 예상외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며"초반 두 문제에서 0점을 받는 실수를 저질렀고, 후반에는 챗GPT와 유사한 부분에서 감점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딥시크, 中 물리 경시대회 테스트서 챗GPT 제쳐'(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深度求索) 최신 모델의 물리학 문제 해결 능력이 AI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판 챗GPT, 딥시크, 보안 취약점으로 논란중국판 챗GPT인 딥시크가 데이터 도용 멀웨어 생성 방식이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등 보안 취약점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거나 규제 조치를 검토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딥시크, 챗GPT 시대에 혁신 AI로 경쟁권 asserted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챗GPT의 아성을 흔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딥시크는 대형언어모델 개발에 사용한 GPU 규모가 미국 거대 기업보다 훨씬 적어 효율적이라며 미국의 AI칩 수출규제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한 'R1' 추론 AI 모델은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AI의 'o1' 모델보다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팩플] 챗GPT 위협하는 中 딥시크…중국 AI, '가성비' 경쟁력 될까딥시크가 공개한 기술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MMLU),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MATH)에서 오픈AI의 추론 모델 o1(오원)과 유사한 성능을 내고, 일부 지표에선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보고서에서 딥시크는 R1이 입력 토큰 100만 개당 0.55달러, 출력 토큰 100만 개당 2.19달러를 쓴다고 공개했다. o1의 경우 입력 토큰 100만 개당 15달러, 출력 토큰 100만 개당 60달러를 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딥시크, 챗GPT 능가하는 AI 모델 개발…국내 AI 업계에 희망 불어?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챗GPT 개발사 오픈AI를 능가하는 AI 모델을 개발하며 미국 AI 기업들을 흔들었다. 딥시크가 사용한 컴퓨팅 파워의 양은 챗GPT 개발에 사용된 양보다 현저히 적었는데, 이는 국내 AI 개발업계에게 희망을 주는 사례이다. 딥시크의 성공은 오픈소스 AI의 우위를 보여주고 더욱 경쟁적인 AI 시장을 만들어낼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딥시크, 챗GPT 넘어 앱순위 1위, 미 반도체 수출규제 뚫고 엔비디아 주가 폭락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오픈AI 못지않은 성능의 가성비 AI 모델 'R1'을 출시하며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딥시크 R1은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AI 대장주 엔비디아가 하루 만에 주가가 17% 폭락했다. 딥시크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규제를 뚫고 이 같은 성과를 이뤄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