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향] 10~20대 초·중반의 ‘잘파세대’(Z세대+알파세대)가 은행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잘파...
[주간경향] 10~20대 초·중반의 ‘잘파세대’가 은행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잘파세대는 디지털 시장의 주고객층이자 소비 흐름을 주도한다. 시장과 기업이 마케팅 수단으로 세대를 구분하는 건 흔한 일이나 은행권에서 이들에 주목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수익성만 따지면 당장은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이들을 잡아두지 않고선 미래를 담보할 수 없어서다. 은행엔 위기이자 기회인 셈이다.잘파세대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한 Z세대와 2010년 이후 태어난 알파세대를 합친 세대를 통칭한다. 현시점에서 초등학생까지는 알파세대, 중학생 이후부터 20대 중반까지는 Z세대로 구분된다.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에 익숙해 ‘디지털 원주민’으로 불린다. 최신 정보기술을 비교적 빠르게 습득하고 활용한다. IT, 사회관계망서비스, 게임, 엔터, 패션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주력 소비층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이나 청소년 특화 유스앱을 첫 거래 금융기관으로 꼽은 비중은 중·고등학생의 경우 42.2%인 반면 초등학생은 18.0%에 그쳤다. 중학생 이상 Z세대 10명 중 9명은 유스앱 이용 경험이 있었다. 유스앱 만족 이유로는 메뉴 배치, 접근성 등 이용 편리성과 이벤트·혜택을 꼽았다. 보고서는 “2020년 만 14세 이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카카오뱅크 미니 등 출시 후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거래가 앱 기반으로 급변했다고 볼 수 있다”고 적었다. ‘향후 1~2년 내 주거래 은행을 바꿀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 전체 응답자의 14%만 ‘있다’라고 답했으며, 비중은 초등학생 16.9%, 대학생 15.7%, 중·고등학생 12.7% 등 순으로 집계됐다. 모바일뱅킹은 중학생이 되면서 거래가 크게 늘었다. 모바일뱅킹을 이용한다는 응답은 초등학생이 19.0%인 반면 중학생은 74.0%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생은 82.7%, 대학생은 91.0%였다. 핀테크 앱 사용도 초등학생 20.0%에서 중학생 60.5%로 크게 뛰었다.
당국의 정책 기조도 기존 은행엔 위기감을 고조시킨다. 윤석열 정부 금융위원회는 은행권 경영과 영업 관행, 제도 개선 방안 중 하나로 은행권 경쟁 촉진을 위한 인터넷전문은행 등 신규 플레이어 진입을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알파세대 친화적인 모바일 콘텐츠는 상대적으로 인터넷은행이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다만 최근엔 시중은행도 미성년 잘파세대, 특히 알파세대를 겨냥한 ‘키즈 패키지’ 등 이벤트와 전용 플랫폼을 확대하는 중이다. 또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금융 교육과 관련한 체험 교실을 열어 접촉을 늘리는 식으로 고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전기차 만들려고? LG전자가 ‘모터쇼’ 간 까닭은LG전자, 뮌헨서 모터쇼 데뷔…“전장 생태계 이끌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기 떨어진 ROTC, 창군 이래 첫 추가모집…지원 꺼리는 까닭은육군이 창군 이래 처음으로 학군사관 추가모집에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 일병, 극도로 불안”…AI가 디지털 병영일지 읽고 위험 경고장병들이 휴대전화나 모바일 기기로 일기를 쓰거나 상담·검사를 받으며 마음 건강을 스스로 돌볼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4일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오는 4일부터 국군장병 대상 디지털 마음 건강 서비스가 시작된다. 이 서비스는 과기정통부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정서장애 예방 및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과제 지원을 받아 한양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대차증권, 디지털 CMA 계좌개설 이벤트현대차증권은 오는 30일까지 생애 최초 디지털 CMA 계좌 개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벤트 기간 내에 생애 최초 현대차증권 디지털 RP형 CMA 계좌를 개설하고 100만원 이상을 납입한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 9월 말까지 100만원 이상을 납입하고 10월 말까지 100만원 이상 잔액을 유지해야 올 11월 중순 L.POINT 5천 포인트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 제품, 대박났다며?”…‘디지털 광고판’ 흔드는 네이버·카카오네이버, 쇼케이스광고 베타 출시 카카오, 친구탭 내 광고 위치 조정 다음, 카페지기와 광고수익 공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과기부 예산 삭감 62%가 R&D…디지털·SW·데이터 사업 ‘휘청’이정문 의원실, 2024 과기부 예산안 분석삭감 2조284억원 중 R&D가 62.4%“정부, 국가미래발전 씨앗까지 짓밟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