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슈퍼보이' 최두호는 연승으로 UFC 페더급에서 핫한 스타로 부상하며 국내 격투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의 펀치력과 개성적인 파이터 이미지는 UFC 팬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정찬성의 은퇴 후 떠올랐던 공백을 메꾸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한국인 격투가중 가장 핫한 선수는 단연 UFC 페더급에서 활약 중인 '코리안 슈퍼보이' 최두호 (33·코리안좀비MMA)다. 긴 공백, 슬럼프 등으로 '지나간 유망주' 취급받던 것이 무색하듯 연승을 통해 재도약에 성공했다. 이는 국내 격투계에 희소식이다. 마니아 팬을 넘어 일반 팬들까지 끌어모을 수 있는 유일한 스타였던 정찬성 의 은퇴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대안이 생겼다. UFC 측에서는 신기할 정도로 오랫동안 최두호 를 기다려줬다. 그는 2016년에서 2019년까지 3연패에 빠진 후 2023년에 들어서야 재기전을 가졌다. UFC 가 어떤 단체인가. 조금 잘 나간다 싶어도 연패를 기록하면 빠르게 쳐내버리기 일쑤다. 어정쩡하게 성적이 좋아도 상품성에서 마음에 들지 않으면 역시 재계약을 하지 않는다. 그 정도로 냉정한 UFC 가 최두호 를 이만큼 기다려주고 기회를 줬다는 것은 그야말로 파격적이다. 그렇다고 최두호 와 특별한 관계가 있는 것도 아니다. 결론은 간단하다.
그렇게 할 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최두호 또한 거기에 부응해서 부활에 성공했다. 동양에서 온 슈퍼보이 일단 최두호는 자신만의 캐릭터가 확실하다. 쇼맨십이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저 선수는 좀 눈에 띄는데' 할 만한 요소를 뚜렷하게 갖추고 있다. 격투기의 특성인지 모르겠지만 대부분 UFC 파이터들은 외모에서부터 강함이 묻어나온다. 반면 최두호는 외모만 놓고 보면 격투가인가 싶을 정도다. 거기에 반전매력으로 강력한 펀치력까지 갖추고 있다. 제대로 맞추기만 하면 체급 내 어떤 선수를 상대로도 KO승이 가능하다. 동양에서 온 여리게 생긴 동안 파이터가 매 경기 녹아웃을 기대하게 만든다? 바로 그게 주최 측에서 보는 최두호의 매력인 것이다. 스스로 악동 짓도 서슴치 않는 서양 파이터들과 달리 동양 파이터들은 상대적으로 너무 얌전하다. 이는 선수의 흥행성을 최우선으로 놓고 운영하는 주최 측에게 개성이 적은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거기에 오카미 유신, 김동현 등 성적이 준수했던 상당수 파이터들은 그래플러 일색이었다. 국내는 물론 일본, 중국 등까지 포함해 아시아 파이터들이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다. 정찬성 같은 경우 화끈한 파이팅 스타일을 통해 이를 극복했고 동양 파이터로서는 드물게 슈퍼스타 위치까지 올라갔다. 최두호도 그렇다. 계산에 능한 주최 측 시선으로 봐도 충분히 키워줄 만한 선수라는 판단이 선 것이다. 파이팅 스타일의 변화, 성적도 기대되는 미래 물론 최근 들어서는 정찬성과 함께하며 파이팅 스타일에 변화가 생겼다. 이전처럼 극단적인 스나이퍼 유형은 아니다. UFC 입성 초창기에는 화력으로 상대를 찍어 눌렀지만 수비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많았다. 반면 현재는 화력을 조금 줄이더라도 수비와 운영에 신경을 써서 승리를 가져가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그렇다면 캐릭터가 변한 것 아닌가 하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아니다. 각 파이터들에게는 씌여진 이미지라는게 있다. 옥타곤 입성 후 후안 푸이그(34·멕시코), 샘 시실리아(38·미국), 티아고 타바레스(39·브라질) 등을 상대로 3연승을 거두는 과정에서 보여준 저격수 스타일은 최두호라는 캐릭터를 대표하고 있다. 여전히 최두호는 주최 측이나 현지 팬들 사이에서 '동안의 암살자' 같은 이미지다. 아직까지 옥타곤 무대서 판정승은 없지만 설사 판정 승부로 경기가 마무리돼도 '이번에는 저격총이 명중되지 않았군'이지 '지루하다'는 반응은 좀처럼 나오지 않을 것이다. 정찬성이 나중에 파이팅 스타일을 바꿨어도 여전히 미친 듯이 치고받는 진흙탕 좀비로 기억되듯. 정찬성과의 만남은 최두호의 재능을 완전히 끌어올리고 있다. 특유의 카운터잡이 장점에 단점을 보완하면서 안정감에서 더 높아졌다는 평가다. 과거 미르코 크로캅이 나이를 먹으면서 더 느려졌지만 그래플링에서 발전을 가져가면서 되레 옥타곤에서 싸우기는 더 좋아진 것처럼 해당 무대에 잘 적응하고 있다. 이미 지난 일이기는 하지만 연패의 시작이 되었던 컵 스완슨(40·미국)전은 두고두고 아쉽다
최두호 UFC 격투 선수 한국 슈퍼스타 파이팅스타일 동양파이터 정찬성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UFC 회장 한국 방문 취소, 최두호 8년만에 2연승 도전UFC 회장 데이나 화이트의 한국 방문이 비상계엄 발동으로 취소되었다. 그 대신 최두호가 8일 UFC 310 대회에서 2연속 승리에 도전한다. 그의 성공 여부는 톱15 랭킹권 진입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법 리스크에 꼼짝 못한 기업, 미래는 언제 되찾을까기업의 사법 리스크와 겹규제로 인해 미래 준비보다는 위기 관리에 치중하는 현실. 정치 투쟁과 경쟁 국가의 위협 속에서 한국 기업들은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니랩 관심 아문디 CIO, 한국 증시 '단기 위기 어린 밝은 미래' 지적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아문디의 뱅상 모르티에 CIO가 한국 증시를 '단기 위기 어린 밝은 미래'로 평가하며 내년 투자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최근 탄핵 정국과 계엄 사태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저평가된 매력이 큼을 지적했다. 아문디 CIO는 미국 빅테크 시장의 고평가와 성장세 감소를 예측하며 신흥 아시아 시장을 유망 투자처로 제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진보정치의 딜레마와 미래선진국의 진보정치가 딜레마에 빠지는 이유와 한국의 진보정치 흐름을 분석합니다. 노동자 집단의 특성과 진보정치의 3가지 노선, 복지국가와 복지동맹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한국의 진보정치가 마주한 질문을 파헤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니랩 라운드테이블: JP모간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월가와 한국 증시의 미래 전망머니랩 라운드테이블에서 JP모간자산운용의 케리 크레이그, 조던 스튜어트, 제프리 왕이 미국 빅테크의 추가 상승 가능성과 한국 증시의 저평가 이유에 대해 논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윤정 SK바이오팜 본부장, 그룹 차원의 '성장 지원' 조직 맡아최윤정 본부장이 바이오 사업 분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룹 차원의 미래 성장 사업 발굴에 앞장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