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5일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나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최측근 그룹인 ‘7인회’의 백의종군 선언에 이은 쇄신안이다. 이른바 86그룹(80년대 학번, 60년대생)의 용퇴론이 확산할지 관건이다. 송 대표는 오는 3월9일 서울종로, 경기안성, 청주상당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했다. 동일지역 4선 연임 금지, 6월 지방선거 때 전체 광역·기초의원 30% 청년공천, 윤미향·이상직·박덕흠 의원 제명안 처리 등도 내놨다. 쇄신안에 대한 신문들의 평가
#AD155442644961.ad-template { float:right; position:relative; display:block;margin:0 0 20px 20px; clear:both; } #AD155442644961.ad-template .col { text-align:center; } #AD155442644961.ad-template .col .ad-view { position:relative; display:inline-block;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5일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나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최측근 그룹인 ‘7인회’의 백의종군 선언에 이은 쇄신안이다. 이른바 86그룹의 용퇴론이 확산할지 관건이다. 송 대표는 오는 3월9일 서울종로, 경기안성, 청주상당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했다.
한겨레는 “송 대표의 불출마 선언은 당내 586 의원들의 동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우상호 의원은 페이스북에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며 “난 지난해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도 송 대표 제안에 “‘나부터 내려놓는다’고 했으니 진정성을 받아주면 좋겠다”며 “우리가 잘못이라 할 수 없는 곳도 공천을 포기해 진정성을 갖고 변화한다는 말을 당대표께 드린 것”이라고 환영의 뜻을 보였다. 조선일보는 ‘선거용’이라고 평가하며 당안팎에서 나온 비판 목소리에 주목했다. 진정성이 없다는 평가다. 정치면 “송영길 ‘종로 등 3곳 무공천’…윤미향·이상직 뒷북 제명”이란 기사에서 송 대표의 불출마에 대해 “송 대표는 이미 5선이나 지냈고, 차차기 대선 출마를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한 재선 의원의 입장을 담았다. 우 의원의 불출마 입장에 대해서도 “당내 86인사들 중 우 의원만 ‘불출마 확약’을 했을 뿐 여타 중진 의원들은 ‘침묵을 지켰다’”고 봤다.
해당 칼럼에선 서울의소리 기자를 “유튜브 채널 직원”이라고 표현하며 “기자의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통화 녹취 공개에 대해 “사생활로 보호받아야 할 영역을 침해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도 일단 공개된 내용에 대해선 김씨를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김건희 녹취록 공개 이후 온라인상에서 “‘원더우먼’ 등 영화 포스터에 김씨 얼굴을 합성하며 ‘걸크러시’하다고 두둔하는 반응”에 대해 “샤머니즘에 빠졌다는 사실 이상으로 충격적”이라고 했다. “물질주의와 무속의 결합이 김씨 같은 서울 강남 졸부들에게 이상한 것이 못 되듯 이준석이나 ‘이대남’에게도 그런것인가”라며 “국민의힘은 이런 반응을 내세워 윤 후보 자신이 그 일부인 샤머니즘 문제를 뭉개고 넘어가려 한다”고도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강준만 칼럼] ‘언론 운동장’은 누구에게 기울었나?윤석열은 공개석상에서 사랑방 잡담회에서나 쓸 법한 화법으로 말을 해대는 바람에 즉각 수많은 실언 논란에 휩싸였다. 취지를 무시하고 말꼬투리나 잡는 언론이 원망스러운가? 그 전에 자신이 서 있는 자리가 잡담회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 게 우선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손석춘 칼럼] 정경심 겨눈 창, 김건희의 방패대선 정국에 ‘무속 논란’은 뜬금없다. 하지만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 윤석열 후보의 배우자가 ‘서울의소리’ 기자와 나눈 대화가 속속 공개되었다. 홍준표‧유승민도 ‘굿을 했다’는 김건희 말에 당사자들이 발끈했기 때문이 아니다. 한겨레 논설위원의 ‘비선’ 언급(1월20일)에 이어 경향신문은 “김건희 무속중독 논란”의 핵심을 ‘비선권력’이라고 보도(1월22일)했다. 현재까지 보도만으로도 윤석열 부부와 ‘점쟁이’의 접촉은 일반의 예상을 뛰어넘는다.여기서 ‘점쟁이’는 김건희의 표현이다. 언론 보도처럼 ‘무속’을 싸잡아 폄훼할 일은 아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손석춘 칼럼] 정경심 겨눈 창, 김건희의 방패대선 정국에 ‘무속 논란’은 뜬금없다. 하지만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 윤석열 후보의 배우자가 ‘서울의소리’ 기자와 나눈 대화가 속속 공개되었다. 홍준표‧유승민도 ‘굿을 했다’는 김건희 말에 당사자들이 발끈했기 때문이 아니다. 한겨레 논설위원의 ‘비선’ 언급(1월20일)에 이어 경향신문은 “김건희 무속중독 논란”의 핵심을 ‘비선권력’이라고 보도(1월22일)했다. 현재까지 보도만으로도 윤석열 부부와 ‘점쟁이’의 접촉은 일반의 예상을 뛰어넘는다.여기서 ‘점쟁이’는 김건희의 표현이다. 언론 보도처럼 ‘무속’을 싸잡아 폄훼할 일은 아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캠프 J도사’ 칼럼 포털삭제에 조선일보 입장은?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캠프에 도사들이 포진해 있다고 전한 조선일보 칼럼이 포털사이트에서 삭제돼 그 연유에 관심이 쏠렸다. 조선일보 측은 “일부 팩트가 명확치 않아 필자와 상의해서 취한 조치”라고만 밝혔다.조용헌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석좌교수는 지난 10일 조선일보 칼럼 코너 ‘조용헌 살롱’에서 “선거에서 비공식의 영역, 정보는 소위 ‘도사’들로부터 나온다”며 “이재명과 윤석열의 캠프에도 각각 도사들이 포진돼 있다. 대장동의 ‘화천대유’와 ‘천화동인’이라는 작명 자체가 주역의 점괘에서 비롯된 작명”이라고 했다.문제가 된 건 윤석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준혁, 이재명 캠프 합류 보도에 '명백한 오보''이재명 후보와는 지난 2012년 경기도 성남 멘토리 창단 때 만난 인연으로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는 있으나 그게 전부'라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