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조선의열단을 결성하고 독립운동을 펼친 후, 한국 사회에 기여한 정치인의 삶과 업적을 다룹니다.
평안북도 신의주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일본 유학을 가 1931년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1932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했다. 1934년 강원도 평강군수, 1936년 경기도 파주군수, 함경남도 경찰부 보안과장을 했다. 1937년 7월 고등관 6등의 사무관으로 승진하면서 조선인 관리로는 최초로 일본 중앙관서에 진출해 척무성 식산국 사무관으로 일했다. 1940년 4월 에 이름이 등재되었다.1940년 9월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회교육과장을 했다. 당시 등에 황민화, 내선일체, 조선인의 총후봉공을 강조하는 글을 기고했다. 1940년 10월부터 1943년 1월까지 전시 최대의 관변통제기구인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로 활동했다. 1943년 강원도 내무부장, 1944년 평안북도 내무부장 등으로 승승장구했다. 1945년 1월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해방 후 태창광산 사장, 대한광업진흥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했다. 6.
25 전쟁 당시 북한군에 체포돼 평양형무소에 끌려갔다가 1950년 9월 탈출해 서울로 돌아왔다. 1958년 제4대 민의원 선거에 민주당 소속으로 강원도 춘천에 출마해 당선됐다. 1960년 제5대 민의원 선거에서 재선됐다. 제5대 민의원 재경경제위원장을 지냈으며 1960년 대한펜싱협회 회장을 지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로 당선됐다. 1990년 사망했다.901년 6월 24일 경남 밀양군에서 태어났다. 경남 밀양의 사립 동화 중학에 입학하면서 항일 인사였던 김홍표 교장의 영향으로 항일정신을 키워갔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만세운동에 참가한 그는 만세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고향에 내려가 동지들을 규합했다. 13일 오후 1시쯤 수천 명이 모인 고향 장터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자 동지들은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쳤다. 일본 경찰의 수배를 피해 중국 망명길에 올랐다. 일본은 그 해 4월 14일 부산지방법원 밀양지청에서 궐석재판으로 징역 1년6월을 선고했다.1919년 11월 9일 죽마고우 김원봉 등 13명과 함께 조선의열단을 결성했다. 의열단에서는 일제 침략기관의 파괴와 원흉들을 처단키로 했다. 정보가 누설되어 체포됐다. 5년 4개월의 감옥생활을 했다. 1932년 여름 중국 남경으로 망명했다. 1932년 10월 20일 중국 군사위원회 간부훈련단 제6대(약칭 조선민족혁명간부학교)에 입교, 1933년 4월 21일 제1기로 졸업했다. 1933년 한국대일전선 통일연맹을 결성해 중앙집행위원회 상무위원으로 선출됐다. 1933년 7월 5일 독립운동가들이 소망하던 단일정당인 민족혁명당을 탄생시키데 참여했다. 민족혁명당이 중국과 제휴하여 만든 조선의용대에서도 핵심부서인 편찬위원회 주편이 됐다. 조선의용대를 이끌고 중일전투에 참가했다. 타이항산 항일 근거지에 도착, 조선의용대를 조선의용군으로 개칭하고 중공 팔로군과 함께 항일 무장활동에 열중했다. 1942년 2월 일본군은 4만명의 군대를 동원해 타이항산을 공격했다. 항일 연합군사령부에서는 조선의용대에게 탈출로를 확보하고 전군이 탈출하도록 지원하라고 명령했다. 이 전투에서 적탄을 맞고 쓰러졌다. 3일 뒤 동지들이 중상을 입고 쓰러져 있는 선생을 발견했으나 중태였다. 6월 3일 석굴에서 숨을 거두었다. 나이 41세였다. 정부는 198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독립운동 조선의열단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항일 무장 투쟁 정치인 국회의원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재명·한동훈 둘다 제쳤다…담 넘은 ‘이 정치인’ 신뢰도 1등국회 담 넘은 우원식 리더십 재평가 정치인 신뢰도 평가서 1등 기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정원장 '尹, 내게 정치인 체포 지시안해…1차장 교체 내 판단'국정원장 '尹, 내게 정치인 체포 지시안해…1차장 교체 내 판단' -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치인 체포 보고' 여부 놓고 국정원장·前1차장 '진실 공방'(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12·3 비상계엄 사태 과정에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를 조태용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상계엄 선언 후 정치인 관련 테마주 급등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일정 시간 후에 해제함에 따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등 주요 정치인 관련 테마주들이 급등하였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군인 국회 진입에 대한 논란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그에 따른 군인들의 국회 진입과 주요 정치인 체포 지시 등이 발생하면서 내란죄 논란이 일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지아 새 대통령에 '친러' 전직 프로축구 선수 당선(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캅카스 지역의 옛 소련 국가 조지아의 새 대통령에 친러시아 성향 정치인 미하일 카벨라슈빌리(53)가 당선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