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최 권한대행을 향해 '헌법재판관 공석 3명을 임명하는 것이 권한대행의 당연한 의무'라고 촉구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 참석해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은 30일에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 최 권한대행을 향해 “ 헌법재판관 공석 3명을 임명하는 것이 권한대행의 당연한 의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임명 시한을 지금 당장 정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그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고 수습에 대한 최 권한대행의 국정수행 과정을 지켜보면 민주당의 대응 방향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앞서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이 지난 26일 “ 헌법재판관 을 임명할 공직자가 있으리라는 믿음을 갖고 따박따박 탄핵하겠다”면서 최 부총리가 임명을 거부할 경우 곧바로 탄핵에 나설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박 수석부대표는 ‘연쇄 탄핵에 대한 부담감으로 민주당이 공세 태도를 바꾼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는 않다. 한덕수 전 권한대행에 대해서도 12월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참고 인내하며 기다리지 않았나”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그 이후에 한 전 권한대행이 내란 세력과 손을 잡았다는 부분을 확인했기 때문에 한 전 권한대행을 탄핵한 것이고, 최 권한대행에 대해서도 어떤 결정을 할지 지켜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고 수습과 내란 해소는 병행될 수밖에 없다”며 “국가의 가장 큰 위기를 초래하고 국정 마비를 초래한 것은 윤석열이고, 내란 세력이 준동하는 상황에서는 국정이 안정될 수 없다”고 했다. 박 수석부대표는 같은 맥락에서 최 권한대행이 다음날인 31일 예정된 국무회의에서 이른바 ‘쌍특검법’(김건희 여사·내란 특검)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석열에 대한 탄핵심판 진행과 동시에 진상 규명과 처벌이 꼭 필요하다”며 “최 권한대행도 역사와 민심의 물줄기, 시대적 과제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최상목 헌법재판관 임명 압박 박성준 국회 한덕수 윤석열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최상목 권한대행에 '헌법재판관 임명·특검 수용' 압박더불어민주당 김윤덕 사무총장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 국회가 추천한 헌법재판관 3인 임명과 특검(내란·김건희여사 특검법) 수용을 요구했다. 김 사무총장은 최 권한대행에게 헌법 절차에 따라 혼란을 멈추고 국민 명령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특검법 공포 시한을 넘기는 경우 즉각 탄핵에 나설 것이라는 공개적인 위협을 내세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불어민주당,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 협박 논란민주당은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보류에 대한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 협박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정 위기 속 정치권, 즉각적 대응 필요최상목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허용과 내란·김건희 특검 독소조항 제거 논란이 국정을 위축시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최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촉구… 탄핵 거부 시 '다시 탄핵' 압박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상목 권한대행의 국회 추천 몫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에 대해 압박을 가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률가 1233명, 한덕수 권한대행에게 '헌법재판관 임명'과 '내란특검법 공포' 주문법률가 1233명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헌법재판관 임명과 내란특검법 공포를 강력하게 주문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_위헌성 검토 논란탄핵소추안 가결 후 한덕수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헌법재판관 임명 시위로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청구가 이어지고 있다.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의 위헌성을 쟁점으로, 헌재의 신속한 판단이 기대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