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위기가 정말 의무휴업 때문일까? 미래당 대형마트 의무휴업 이성윤 이성윤 기자
청와대 국민청원을 폐지한 윤석열 정부가 대국민 소통 창구로 국민제안을 신설했다. 6월 23일에 개설된 국민제안은 국민들이 민원·제안·청원을 접수하면, 민간·공직 전문가 11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10건의 우수 제안을 선정하고, 대국민 온라인 투표를 통해 가장 많이 득표한 3건은 대통령실에서 정책으로 현실화할 계획이다. 22일 기준으로 탑 3에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9900원 K-교통패스 도입, 휴대전화 모바일 데이터 잔량 이월 허용이 올라와 있다.
확실히 최근의 유통산업 구조는 과거 '전통시장 대 대형마트' 보다 '온라인 대 오프라인'으로 변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의무휴업이 온라인 마트에 대항하는 오프라인 마트를 발목 잡는다라고 주장하기에는 다소 지나친 부분이 있다고 본다. 과연 의무휴업을 없앤다고 한들 대형마트가 이커머스 산업에 맞설 수 있을까? 그보단 미래 마트의 모습은 온라인으로 넘어갔다고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배송 시스템으로 무장한 이커머스는 하루가 다르게 소비자를 대형마트로부터 빼앗아 오고 있다. 이커머스에 비해 대형마트는 존재만으로도 엄청난 비용을 내야 한다.
상황은 해외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서는 아마존이 온라인 쇼핑 산업을 평정한 가운데 온라인 산업으로 전환하지 못한 오프라인 쇼핑센터들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면서 줄줄이 도산했다. 11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중저가 백화점 체인 J.C 페니를 포함한 대형 소매회사가 2020년에만 4곳이 파산 신청을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찰서장 회의’ 이끈 류삼영 서장 대기발령…내부 반발 이어질 듯“이제 정말 내전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아 답답하다” 경찰청은 이날 회의 현장에 참석한 총경 50여명에 대해서도 해산 지시 불이행을 근거로 감찰에 착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 2번' 마트 의무 휴업, 11년 만에 존폐 기로정부가 국민들이 직접 제안한 정책 과제 10가지를 놓고 온라인 투표를 시작했습니다. 한 달에 두 번 대형마트 문을 닫도록 한 조치를 없애달라는 내용도 들어있는데 관련 논쟁이 다시 벌어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