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가 오전 영업제한시간과 의무휴업일에도 온라인 배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중소상공인 단체와 합의했다.
지역별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달리 지정하는 방안도 합의됐다. 다만 일부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향후 국회의 입법 논의를 거쳐야할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 측 한국체인스토어협회와 중소상공인 측 전국상인연합회·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정부 측 국무조정실·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중소유통 상생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사정에 따라 의무휴업일을 결정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강화하는 방안도 협약서에 포함됐다. 현행법상 지방자치단체장은 매월 공휴일 중 이틀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로 지정해야 하며, 이해당사자와 합의를 통해 공휴일이 아닌 날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할 수 있다. 대형마트 측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역량 강화와 인력, 교육, 홍보 등을 중소상공인 측에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중소유통 강화를 위해 물류체계와 시설·장비 개선 등도 지원한다.이정원 국무2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대형마트 영업제한 규제가 2012년 도입돼 10년 동안 운영됐다”며 “그동안 온라인 시장이 강화되며 유통 환경이 많이 변했고, 소비자의 요구도 다변화된 상황”이라고 상생협약 추진 취지를 설명했다.상생협약에 따른 대형마트 영업 규제 완화를 위해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업제한시간과 의무휴업일에 온라인 배송은 법으로 금지돼있다. 지자체가 원칙적으로 공휴일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하도록 한 법 조항도 손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대형마트 영업 규제 완화가 가시화될 경우 종사자들의 건강권 보장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이 차장은 “근로자의 휴식권은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며 “휴식권 보장에는 기본적으로 같이 공감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사항은 대형마트와 근로자 간에 근로기준법에 의한 계약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당초 정부는 주요 국정과제인 ‘규제개혁’ 차원에서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 완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의견, 특히 소상공인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밝힌 뒤 이해당사자들의 상생협력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우린 코딩으로 '식탁' 바꾼다…정육점 사장님 된 수학 영재 | 중앙일보91년생 김재연 대표는 중학교를 조기졸업하고, 한국과학영재학교에 이어 KAIST를 다녔던 수학 영재입니다.\r정육각 초신선육 팩플인터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팬데믹이 불러일으킨 온라인 공연, 현재 상황은 어떨까㈜라이브커넥트가 온라인 공연 시장을 결산한 자체 집계 자료를 공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일 새벽 서울 눈 예보…지자체 비상근무 돌입오는 28일 새벽 서울 지역에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되면서 서울시가 전날 밤부터 비상근무를 발령하고 제설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근 2주 평균기온 역대 최저...북극해빙 감소가 12월 강추위 불렀다기상청은 이례적인 한파와 폭설의 원인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극 해빙의 감소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