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의 승인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진행되고 있지만, 마일리지 통합, 인적 구조조정, 독과점 우려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통합 작업이 필요하며, 비용 효율화와 신규 노선 개척으로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
유럽연합이 승인하면서 4년여간 끌어온 대한항공 · 아시아나항공 합병이 눈앞에 다가왔다. 그러나 축포를 터트리긴 이르다. 대한항공 은 2년간 아시아나항공 을 자회사로 운영한 뒤 통합 항공사로 출범한다. 이 기간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첫 번째는 마일리지 통합 문제다. 대한항공은 2년간 개별적으로 마일리지를 운용하다 컨설팅을 거쳐 제도를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나 마일리지는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게 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합병 전 마일리지를 소진하려는 움직임으로 보너스 항공권, 쇼핑몰 상품은 동이 났다. 사회 통념상 마일리지는 보너스가 아닌 '자산'의 개념에 가깝다. 통합 전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최대한 소진할 수 있게 배려하고 비율도 합리적으로 산정해야 한다. 두 번째는 인적 구조조정 문제다. 대한항공이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다고 밝혔지만 조직 통폐합으로 부서·근무지 이동 등이 불가피한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의 불안감이 크다. 직원들이 차별을 느끼지 않도록 조직 통합과 인력 재배치에 대한 묘수가 요구된다.
양대 국적항공사 통합으로 인한 독과점 우려도 있다. 대한항공은 항공업종이 글로벌 경쟁 산업인 만큼 독과점으로 인한 운임 인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내 소비자 입장에서는 특히 장거리 여행 시 선택권이 줄어들면서 운임 인상에 대한 우려가 높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선 국토교통부·공정거래위원회 등 관련 기관의 철저한 감독과 지원이 중요하다. 특히 티웨이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대한항공의 유럽·미주 노선을 각각 이관받는 저가항공사들이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보호해야 한다. 통합 대한항공은 기존 노선의 운임 인상보다 비용 효율화와 신규 노선 개척 등으로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독이 든 성배'가 되지 않으려면 치밀한 통합 작업을 서둘러 준비해야 한다. 통합 대한항공이 진정한 '국가대표'가 된다면 한진가 갑질 사태의 불명예를 씻고 국민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합병 마일리지 통합 인적 구조조정 독과점 우려 비용 효율화 신규 노선 개척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M&A 미온적인 제주항공 … LCC 재편 흐름서 기회 못 잡나M&A기회 잡겠다던 LCC 1위 제주항공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인수 불참 에어프레미아 지분투자에도 무관심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이후 저가항공(LCC) 업계 재편 예고 제주항공 향후 M&A 행보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합병 마무리…항공 산업 대변화 예고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작업이 금년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연합집행위(EC)는 양사의 기업결합을 승인할 예정이며, 이로 인해 국내 항공 산업은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LCC 통합과 화물사업부 매각이 완료되면 국내 항공산업 구조에 지각 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EU,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승인: 한국 항공산업 업그레이드 기회와 우려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을 승인했다. 한국 항공산업의 업그레이드 기회가 열렸지만,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 우려도 제기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마일리지 통합, 소비자 불만 우려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승인을 앞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마일리지 통합이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통합 비율에 따라 기존 항공사 소비자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저비용항공사(LCC) 통합도 남아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EU,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최종 승인EU 경쟁당국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을 최종 승인했다. 두 항공사의 합병은 미국 법무부의 최종 확인만 남겨두고 있다. 통합된 대한항공은 항공기 238대로 국제선 여객 수송량 기준 세계 10위권 메가 항공사로 성장할 예정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세완의 주말경제산책] 한국은행 디지털 화폐가 넘어야 할 산한은 디지털화폐 도입하면대중과 직접거래 가능해져시중은행 역할은 축소될 것비트코인과 경쟁서 살아남고개인거래 감시·해킹 우려 등불안요소 극복해야 정착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