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9개병원 월1천억 보류잇단 의료계 압박 카드에도전공의 지원자 거의 없어의·정갈등 여전히 평행선
의·정갈등 여전히 평행선 이번에 1차로 건강보험 급여비를 선지급하는 과정에서 지급되지 않은 금액은 전체의 3분의 1에 육박한다. 선지급을 받은 기관 수가 훨씬 더 많지만 세브란스·서울아산병원 등 빅5 병원을 포함해 총 9곳이 제외되면서 보류 금액이 커졌다.
의대 교수 비대위가 휴진 선언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인 7월분 급여에 대한 2차 선지급분과 관련해서도 이들 9곳은 '보류'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휴진 선언 철회 시기 등에 따라 해당 병원들이 보류됐던 선지급금 전액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선지급 지원이 이뤄지는 8월 이전에 휴진 선언을 철회했다고 해서 보류된 선지급금을 어느 선까지 제공할지는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하다"며"병원마다 6월과 7월 상황에서도 차이가 날 수 있어 신청을 받고 다시 판단해 선지급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무기한 휴진 선언 자체가 국민에게 주는 메시지가 무거운 만큼 병원 측도 연대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대 증원 규모가 확정된 이후에도 전공의 복귀나 의정 갈등이 해소될 실마리가 보이지 않으면서 선지급금을 두고 의료계를 압박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형병원 경영난 막아주려다 … 건보 재정 1조1700억 '펑크'1분기 건보 수지 적자전공의 집단이탈로 의료 공백요양급여비 선지급, 손실 메워비상진료지원도 한달새 2배로8월까지 선지급 최소 1조될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수들 휴진 '불씨' 여전…전공의들은 블랙리스트로 복귀 '발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의대 교수들 사이의 휴진 불씨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7일 연속 상승’ 테슬라 6% 상승..엔비디아도 4%상승 [월가월부]‘사퇴고려’ 뉴욕타임즈 보도에 바이든, 사퇴 압박 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도 한국 이익 우선…왜 미국만 달라야 하나”해외주둔 미군 재배치 시사 동맹국 국방예산 증액 압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금리 직격탄에 줄하락”…신용등급 강등, 석유화학·건설·2금융에 집중신평사, 세곳 중 두곳 꼴로 하향 신용등급 올린 기업 3곳에 불과 금리인하 늦어지면 압박 가중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집단휴진 등 극단적 방식 멈춰야…공공의대법 쟁점 많아'(종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정부가 휴진 대신 진료 조정에 들어간 서울아산병원의 선택에 다행이라면서도 대형병원 교수들에게 무기한 집단휴진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