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2016년 3월 새로운 대북 제재 착수 수입 차단으로 北 산업 전체적으로 생산능력 상실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성장률 사상 최악 전망
김정은이 1인 지배 체제를 굳힌 지난 2016년 이후 국제사회의 경제 봉쇄조치가 더욱 강력해져 북한 경제는 제2의 '고난의 행군'에 처했다는 분석입니다.몇 달 뒤 노동당 위원장에 추대된 김정은 위원장은 먹고사는 문제를 풀겠다면서 야심 차게 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내놓았습니다.하지만 이듬해 8월 국제사회가 북한의 주력 수출품인 석탄 등 광물 수출을 전면 금지하고 노동자의 해외 송출도 가로막으면서 경제발전 약속은 결정타를 맞았습니다.대중국 상품무역수지는 적자가 24억 달러에 이르러 사상 최대 규모로 악화했습니다.
유엔은 북한의 전자, 기계, 금속 등 품목의 수입을, 광물과 섬유는 수출을 금지하고 있습니다.[홍현익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트럼프는 매일 덕담만 하지 아무것도 주는 것은 없고 오히려 '나는 북한에 아무 것도 주지 않고 북한을 잠재웠다' 이렇게 자랑하고 있잖아요. 얼마나 모욕적이겠어요? 김정은으로서는.][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고난의 행군기'하고 동일합니다. '고난의 행군기'에 수십만 명 이상이 굶어 죽었거든요. 거기다 올봄에 중국에서 비료가 안 들어왔어요. 코로나19로 차단됐기 때문에…]YTN 이광엽[[email protected]]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 대북제재 행정명령 연장…'북한은 특별한 위협'최근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서 신중한 입장을 보였던 미국이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를 한 해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을 '특별한 위협'으로 규정을 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워싱턴 특파원을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대북제재 행정명령 연장…'특별한 위협' 유지북한의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 폭파와 대남 위협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대북제재 연장…'한미 군사 훈련 재개' 목소리밤사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북 경제제재 행정 명령의 효력을 1년 더 연장했습니다. 연례 조치이기는 하지만, 북한을 특별한 위협으로 재규정해 최근 북한 행보에 대한 경고를 보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대북제재 행정명령 연장…'비상하고 특별한 위협' 유지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17일 북한에 대한 기존 경제제재를 1년 더 연장하며 북한을 '비상하고 특별한 위협'으로 재규정했습니다. 이는 연례적 조치이나, 공교롭게 시점적으로 북한이 최근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폭파와 금강산 관광지구·개성공단·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 지역의 군부대 재주둔 방침 선언 등을 통해 남북 관계를 파국으로 내몰며 한반도 긴장을 높이는 가운데 이뤄진 것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대북제재 1년 연장…'비상하고 특별한 위협'북한에 대해 연례 조치이기는 하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제 제재를 갱신했습니다. 북한을 비상하고 특별한 위협이라고 재규정하며 비핵화 없이는 제제 완화도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융화의 상징 없어져”…일 언론,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대대적 보도아사히 “한국 남북관계 성과 잃어버려”요미우리 “북, 긴장 연출로 대미 압력 강화”닛케이 “경제 재개 전망 안 보이자 벼랑 끝 전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