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러영향력 사용할까?…中 우크라戰 중재에 기대·회의 교차
조준형 특파원=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6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중재 행보를 구체화한 데 대해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전쟁 발발 이후 시 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수 차례 대면·유선으로 소통하면서도 이번 통화 이전까지 젤렌스키 대통령과는 1년 2개월간 한차례도 직접 대화한 적이 없었다는 점도 그런 평가에 힘을 실었다.시 주석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작년 2월 4일 푸틴 대통령과 만나 '한계가 없는' 협력관계에 뜻을 같이했고, 국가주석 3연임을 확정한 직후인 지난달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전략 공조' 의지를 재확인한 바 있다. 특히 시 주석은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상호 주권 존중과 영토 완전성 존중이 양국 관계의 정치적 기초"라며 영토를 침공당한 우크라이나의 입장을 인식했다는 점을 '외교적'으로 언급했다.
지난달 중국이 중동의 '맹주' 자리를 다투며 오랫동안 앙숙 관계였던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관계 정상화를 중재한 일은 국제사회가 중국을 다시 보게 만든 계기였다는 평가가 외교가에서 나온다.유럽연합 당국자는"통화가 마침내 성사되고, 소통 채널이 열린 것은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韓의 對中반도체통제 참여문제에 '尹방문서 대화 심화 기대'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미국 국무부는 25일(현지시간) 대(對)중국 반도체 통제에 대한 한국의 참여 문제와 관련, '그것은 궁극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부통령 '韓과 우주파트너십 강화…아르테미스 협력 확대 기대'(종합)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우리는 (한미) 동맹의 새 프론티어인 우주에 대한 협력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실체 드러난 '中 912 프로젝트'…SNS로 해외 반중 인사 위협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가짜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이용해 중국에 반대하거나 비우호적인 인사를 위협하는 활동을 해온 중국 정부 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방첩법 대폭 강화 '간첩대리인에 빌붙는 것도 처벌' | 연합뉴스(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중국이 간첩 행위의 범위를 대폭 넓히는 방향으로 방첩법을 개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