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 구미 해평취수장 물 이용 가능해진다 낙동강 구미시 대구시 해평취수장 맑은물_협정 조정훈 기자
대구시와 구미시는 4일 오후 세종시에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을 맺고 해평 취수장 공동 이용에 합의했다.이번 협정 체결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지난해 6월 24일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의결하면서 후속조치로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경북 공동이용' 이행을 위한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해평취수장에서 하루 평균 30만 톤의 물을 추가 취수해 대구경북에 공급하는 대신 구미시에 용수를 최우선 공급하고 구미 지역의 상생발전사업을 위해 환경부, 대구시, 경상북도, 한국수자원공사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또 대구시는 구미시에 상생지원금 100억 원을 지원하고 구미 국가5산단의 입주업종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해평습지를 활용한 지역발전사업 협력 및 하수처리장 개선과 증설을 지원한다.이번 협정으로 환경부가 추진하는 취수다변화 사업은 대구시가 필요한 1일 58.8만㎥ 중 대구 문산·매곡 취수장에서 28.8만㎥를 생산하고 30만㎥는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대구정수장까지 55km의 관로를 부설하여 이용하게 된다.김부겸 국무총리는"낙동강 상류 지역 물 문제는 지난 30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였다"며"그동안 정부와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어 '물은 나누고 지역은 상생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이번 협정 체결로 대구시민의 30년 염원인 깨끗하고 안전한 물 확보가 이루어지게 됐다"며"오늘 보여준 대구와 구미 간의 상생협력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효시가 될 것이며 나아가 영남권 지방분권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장세용 구미시장도"이번 협정서는 10여 년간의 지역 갈등을 해소하고 지역발전을 마련하는 큰 의미가 있다"며"앞으로 협정서 내용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정부 및 관계기관과 협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출퇴근 지하철에서 소외된 사람들휠체어 이용 시민들이야말로 출퇴근 교통수단으로 지하철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일 것이다. 그런데 정작 이들이 출퇴근 시간대에 지하철을 타자 많은 사람들이 출퇴근 및 기타 이동에 불편을 겪었다. 여기에서 나는 우리 사회에서 가려져온 진짜 문제점을 목격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