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액이 늘며 체납 이자까지 버거워진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세금이 너무 비싸니 나눠 내게 해 달라고 요청한 종합부동산세 납세자가 지난해 7만 명에 달했다. 전체 과세 대상자 규모가 커진 데다, 세액이 늘며 체납 이자까지 버거워진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8일 공개한 국세청 자료를 보면, 작년 종부세 분납 신청자 수는 6만8,338명이었다. 8만 명에 육박하던 2021년 신청 인원보다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5년 전인 2017년의 24배에 이를 정도로 큰 규모다.증가 배경은 여러 가지다. 무엇보다 납세자가 급증했다. 특히 작년의 경우 주택분 기준 종부세 고지 인원이 처음 100만 명을 넘었다. 전체 주택 보유자의 8.1%다. 1세대 1주택자 중 주택분 종부세고지서를 받은 사람도 23만 명이나 됐다. 규제 강화와 부동산 가격 급등이 맞물린 여파다.
낮아진 문턱도 요인이다. 2018년까지 매년 3,000명가량이던 종부세 분납 신청자는 세액 기준이 500만 원 초과에서 250만 원 초과로 하향된 2019년 1만 명대로 올라서더니 2020년 1만9,000명, 2021년 5만4,000명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세액이 늘어나는 바람에 당장 낼 돈이 모자라진 데다 체납에 따른 이자 부담도 커졌다. 통상 납세자가 고지서의 기한까지 세금을 납부하지 않는 경우 우선 미납분의 3%에 해당하는 납부지연가산세가 일시에 부과되고, 이후부터 납부 때까지 연 9%가량의 이자율이 적용된다. 하지만 분납 기간에는 이자 상당액이 가산되지 않는다.
종부세 분납은 납부 세액이 250만 원보다 많은 납세자가 대상이다. 기한부터 6개월까지 납부 기간을 늘려 준다. 납세액이 500만 원 이하이면 납세액에서 250만 원을 뺀 금액을, 500만 원을 초과하면 납세액의 절반 이하를 분납할 수 있다. 예컨대 고지된 세액이 400만 원이라면 기한까지 250만 원을 내고 이듬해 6월 15일까지 150만 원을 나눠 내는 식이다. 기사저장 댓글 쓰기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튀르키예 강진 사망자 6천 명 넘어...WHO '사망자 2만명 넘을 수도''튀르키예·시리아 사망자, 6천 명 넘어' / WHO '여진과 강추위 등 악조건…다음주 사상자 급증 우려' / WHO '튀르키예·시리아 사망자, 최대 2만 명 이를 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망자 7천8백 명 넘어‥WHO '2만 명 넘을 수도'튀르키예와 시리아 지진 사망자가 7천 8백 명을 넘어섰습니다. 구조 활동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사망자 수가 2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이기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진에 사망 4천3백 명·부상 2만 명...구조 난항[앵커]튀르키예 동남부에서 잇따라 발생한 강진으로 튀르키예와 인접 국가인 시리아에서 4천3백여 명이 숨졌습니다.부상자도 2만 명에 육박합니다.시간이 갈수록 사상자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악천후 속에 구조 작업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국제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진호 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이상민 장관 탄핵안 국회 통과, 헌정사 국무위원 첫 사례찬성 179표, 반대 109표, 무효 5표로 가결. 탄핵안 통과에 따라 이상민 장관 직무가 정지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