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70대 A씨는 지역 내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를 방문했는데, 센터 직원이 그의 상당히 어눌한 말투를 눈치챘...
김잔디 기자=70대 A씨는 지역 내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를 방문했는데, 센터 직원이 그의 상당히 어눌한 말투를 눈치챘다.이는 주변인이 뇌졸중 조기 증상을 알아차린 대표적인 사례다.갑자기 가슴에 심한 통증이나 압박감, 짓누르는 느낌이 있고 숨이 많이 찰 때는 심근경색을 의심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20일 설 연휴를 앞두고 추위가 지속함에 따라 본인이나 가족에게 이러한 뇌졸중, 심근경색 조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119에 연락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뇌졸중과 심근경색은 주요 사망원인일 뿐 아니라 생존하더라도 심각한 장애를 동반할 수 있어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경제적 부담을 가중한다. 65세 이상에서 뇌졸중과 심근경색 발생 시 1년 내 사망률은 각각 32.1%와 25.8%에 달한다.실제 두통이나 어눌한 말투로 뇌졸중을 의심했다가 신속히 병원을 찾아 회복된 사례가 적지 않다.대표적인 증상으로는 ▲ 한쪽 얼굴, 팔, 다리에 힘이 빠짐 ▲ 말이 어눌해지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지 못함 ▲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양쪽 눈 시야의 반이 보이지 않거나, 물체가 두 개로 보임 ▲ 어지럽거나 몸의 중심을 잡기 힘듦 ▲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심한 두통 등이다.심근경색을 의심해야 할 조기 증상은 ▲ 가슴에 심한 통증이나 압박감, 또는 짓누르는 느낌 ▲ 턱, 목 또는 등 부위에 심한 통증이나 답답함 ▲ 숨이 많이 참 ▲ 팔 또는 어깨에 통증이나 불편함 등이다.지난해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기증상 인지율은 뇌졸중 59.
증상 발생 시에는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바로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찾아야 한다. 가족이 올 때까지 기다리거나 야간이나 주말이라고 해서 외래 진료까지 기다리는 것도 삼가야 한다. 환자가 직접 운전하는 건 위험한 만큼 주위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무엇보다 중요한 건 예방이다.어르신, 만성질환자, 과거 병력이 있는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은 장시간 외출을 자제하거나 외출 시에도 보온을 유지하는 등 추위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심뇌혈관질환 발생 증가, 노인 중 뇌졸중·심근경색 환자 증가2022년 심뇌혈관질환 발생 통계, 심근경색·뇌졸중 환자 증가 및 치명률 고위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빠를 위한 뇌졸중, 10개월간 메뚜기 입원아빠의 뇌졸중 후 병원을 옮기며 겪었던 고민과 노력, 그리고 최종적으로 도착한 요양병원의 현실을 털어놓는 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허영만 작가와 함께 떠나는 무안 낙지, 목포 홍어 미식 투어김태숙 씨는 남편의 뇌졸중 후 '식객'을 통해 힘을 얻은 후 허영만 작가와 함께 떠나는 무안 낙지, 목포 홍어 미식 투어에 참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뇌졸중 후 후회, 메이저 병원 vs. 요양병원아빠는 뇌졸중으로 중증 상태에 놓였습니다. 초기 병원 선택의 후회, 메이저 병원과 요양병원의 장단점,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의 아빠의 치료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빠의 뇌졸중 경험과 병원 선택의 고민글쓴이는 아버지의 뇌졸중 경험을 통해 병원 선택의 중요성과 뇌졸중 환자에게 어려움이 가해지는 현실을 나타냅니다. 급성 기 환자를 중심으로 치료를 제공하는 병원 환경 속에서, 뇌졸중으로 오래된 환자는 재활 기회가 제한적임을 깨닫게 되고, 맥락을 통해 한국의 요양병원 증가 현상을 설명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란성 불면증’, 두통·위염으로 악화…치료제는 “윤석열 체포”12·3 내란사태 이후 이른바 ‘내란성 불면증’을 호소하는 누리꾼들이 늘고 있다. 12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는 내란성 불면증을 열쇳말로 한 여러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내란성 불면증이란 12·3 내란사태로 촉발된 불안감에 잠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