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10월 하순부터는 배추·무 등 공급량 확대'

대한민국 뉴스 뉴스

농식품부 '10월 하순부터는 배추·무 등 공급량 확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값이 폭등한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아래 농식품부)가 이달(10월) 하순부터는 배추와 무, 시설채소류 등 공급량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박순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최근 전반적으로는 기상 여건이 양호해져서 지금 저희(농...

박순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최근 전반적으로는 기상 여건이 양호해져서 지금 저희가 10월 하순부터는 무, 배추, 그리고 시설채소 공급량은 증가될 걸로 전망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정책관은"지금 올해, 사실 저희가 핑계라면 핑계일 수 있겠지만 유난히 폭염이 심했다. 그래서 배추를 중심으로 해서 원예농산물 생육은 전반적으론 부진한 상황"이라며"농가들이 영양제 공급이라든지 병해충 방제 이런 것들에 대한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 전반적으론 부진하다"고 짚었다. 반면, 배추, 무, 상추, 깻잎, 시금치, 오이, 애호박 등은 지난해보다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이는 지난 8월~9월 지속된 '고온' 영향과 9월 20일~21일까지 내린 '집중호우'로 인해 생육이 부진해 공급량이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 박 정책관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박순연 정책관은" 10월 중순까지는 출하량이 다소 적으나, 하순부터는 출하 지역이 경북, 충북 등으로 확대된다"면서"해당 지역 가을배추 작황도 초기 생육 부진을 극복하고 회복되는 추세에 있어 출하량도 현저히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엄마, 벌써 김포족 선언했어요”…공포의 배추값, 한 포기 얼마길래“우리 엄마, 벌써 김포족 선언했어요”…공포의 배추값, 한 포기 얼마길래늦은 폭염에 공급량 감소 무 3800원 작년보다 65% 쑥 재배 줄어 김장철 더 오를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농식품부, 배추 출하지역 확대…'이달 하순에 가격하락 체감'농식품부, 배추 출하지역 확대…'이달 하순에 가격하락 체감'(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정부는 폭염과 가뭄 등으로 가격이 크게 오른 배추의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해 이달 하순에는 가격 내림세를 체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소비자물가 1.6% 상승...배추 등 채소류는 ‘급등’9월 소비자물가 1.6% 상승...배추 등 채소류는 ‘급등’42개월 만에 1%대 진입했지만...배추 53.6%, 무 41.6% 상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추·무 등 채소값 급등세 여전…작황 호전 과일값은 안정세배추·무 등 채소값 급등세 여전…작황 호전 과일값은 안정세이달 배추와 무 등 채소값은 1년 전에 비해 대폭 오르고, 사과와 배 등 과일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이 발간한 ‘농업관측 10월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가하락 덕 한숨 돌린 물가 … 韓銀, 내주 금리인하 부담 덜어유가하락 덕 한숨 돌린 물가 … 韓銀, 내주 금리인하 부담 덜어9월 물가상승률 1%대 안착채소가격 12% 급등했지만국제유가 8% 떨어져 '안정'정부, 배추 6000t 조기출하수입과일 할당관세도 연장최상목 '물가안정 자리잡아유가변동 등 면밀히 살필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추·과일 이제 좀 사먹으려나”…한숨 돌린 물가, 얼마나 안정됐나 보니“배추·과일 이제 좀 사먹으려나”…한숨 돌린 물가, 얼마나 안정됐나 보니9월 물가상승률 1%대 안착 채소가격 12% 급등했지만 국제유가 8% 떨어져 ‘안정’ 정부, 배추 6000t 조기출하 수입과일 할당관세도 연장 최상목 “물가안정 자리잡아 유가변동 등 면밀히 살필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6:4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