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이중근 제19대 대한노인회장(부영그룹 회장)이 노인 기준 연령을 현행 65세에서 75세로 상향 조정할 수 있도...
최재구 기자=이중근 신임 대한노인회장이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9대 대한노인회장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24.10.21 [email protected]이 회장은 2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9대 대한노인회장 취임식에서"현재 노인 인구는 1천만명이지만 2050년에는 2천만명으로, 나머지 인구 3천만명 중 20세 이하 1천만명 외 남은 중추 인구 2천만명이 2천만 노인 복지에 치중해 생산인구가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이에 노인 인구 관리를 위해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을 연간 1년씩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 75세로 높여 노인 숫자를 줄여나가 2050년에 노인이 1천200만명 정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이 회장은"국가에서 정년 연장 제도를 도입한다면, 정년 연장 첫해에는 정년 피크임금의 40%를 받고, 10년 후인 75세에도 20% 정도를 받도록 해 생산 잔류기간을 10년 연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 회장은"정부가 노인 예산으로 30∼40조원을 쓰고 있는데, 이 비용을 직접비로 처리하면 10년간 무리 없이 지원할 수 있다는 셈법이 나왔다"며"우리 직원들도 10년간 더 보장할 수 있다면 저도 그렇게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외국의 간호조무사들이 국내에 취업할 수 있도록 한다면, 가족들은 본업에 종사하면서 노인을 모실 수 있고, 노인은 편안하게 삶을 정리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또"출생지원과 노인 복지를 위한 '인구부' 신설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필요 인구를 계획·관리하도록 하겠다"며"대한노인회가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존경받는 어르신 단체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 같이 힘을 모아 나아가자"고 말했다. 이 회장은"1천만 노인의 권익을 대변하고 봉사하는 자리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있다"며"노인 처우 개선과 노인을 위한 좋은 정책을 개발해 대한노인회가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어르신 단체로 모양을 갖추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이 회장은 지난 2월 2021년 이후 태어난 자녀를 둔 직원들에게 자녀당 현금 1억원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출산 장려책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직원들에게 총 70억원이 지급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단 장기입원 수속부터 마치고 돈 뽑아먹을 궁리만”…치료 안하는 요양병원내년 5명 중 1명 65세 노인 시설 규모 이미 선진국 부정수급 페이백 문제 지속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초연금은 ‘그림의 떡’··· ‘줬다 뺏는’ 기초연금 노인 67만명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하위 70% 노인에게는 기초연금이 지급되는데, 기초연금액만큼 생계급여를 감액당한 노인이 올해만 약 67만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 연금개혁안에는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제뭔데]65세 노인 10%가 ‘치매’…100세까지 간병비 지원, 든든해진 보험들알츠하이머에 걸린 서연(배우 수애)은 늦은 밤 세수를 하다가 칫솔을 들고 말합니다. “이건 칫솔, 치약, 비누스킨, 나이트크림….엿먹어 알츠하이머.” 벌써 10여 년이 지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년 65세 시대 신호탄…행안부 공무직 정년 5년 연장됐다행정안전부와 행안부 소속기관에서 일하는 공무직 노동자의 정년이 60세에서 최대 65세로 연장됐다. 포상휴가도 신설돼 최대 10일까지 부여하고, 육아를 위해 쓸 수 있는 시간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93년에도 국민연금 신규수급자 평균가입기간 30년 못 미쳐'(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2028년 태어날 아이들이 65세 노인이 돼 국민연금을 타기 시작하는 2093년에도 이들 신규 수급자의 국민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0년 후 절반이 노인 가구, 주택정책 전환 지금 시작해야 [사설]앞으로 30년 후에는 가구주 나이가 80대 이상인 집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나이 80세 이상 가구는 2022년 119만4000가구에서 2052년 487만6000가구(20.9%)로 4배 늘어난다. 가구주 나이를 65세 이상으로 넓히면 전체 가구의 절반을 노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