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저자에게…지한파 3인방

대한민국 뉴스 뉴스

노벨경제학상,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저자에게…지한파 3인방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5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51%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다론 아제모을루(57), 사이먼 존슨(61), 제임스 A. 로빈슨(64) 등 3인...

이신영 기자=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다론 아제모을루, 사이먼 존슨, 제임스 A. 로빈슨 등 3인방은 국가 간 부의 차이를 연구해온 학자들이다.세 사람은 국가간 불평등과 빈부차에 천착하는 과정에서 한국 사례에도 주목하는 등 한국과도 인연이 깊어 '지한파'로 꼽히기도 한다. 세 사람 모두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자들이지만, 미국으로 이주한 케이스라는 공통점도 있다. 아제모을루는 튀르키예, 존슨과 로빈슨은 영국 출신이다.아제모을루 교수는 1967년 9월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태어나 런던 정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에는 미국 경제학회가 40세 미만 경제학자에게 주는 존 베이크 클라크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로빈슨 교수는 1960년 영국 출신으로 런던 정경대를 졸업하고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교수를 거쳐 현재는 시카고대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 교수로 있다.

공동수상자인 존슨 교수는 1963년 영국 태생으로 국제통화기금 수석 경제학자와 미국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존슨 교수는 과거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 '이민자 출신'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이 책은 국가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요인을 사회제도에서 찾고 있는 책이다. 경제 제도를 '포용적 경제 제도'와 '착취적 경제 제도'로 분류하고 포용적 제도가 국가의 번영을 이끈다고 설명하고 있다. 특히 남한과 북한을 예로 들어 정치적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국가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근본 원인을 살펴본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이 책은 국내 정치권에서도 여러 차례 인용된 바 있다.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국민의힘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밀턴 프리드먼의 '선택할 자유',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과 함께 '인생의 책 또는 젊은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으로 꼽은 책이기도 하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지난 2022년 한국개발연구원이 주최한 경제발전 경험 공유사업 성과 공유 콘퍼런스'에서 평화와 경제적 번영의 근간으로서 포용적 제도와 민주주의를 강조하며 이를 성취한 국가로 한국을 꼽았다. 그는 당시 남한과 북한이 제도의 양극단을 보여주는 예시라고 분석하고 민주화 이후 한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했다고 강조했다. 남북한간 체제와 제도 차이가 경제 격차로 이어졌다는 점을 역설하는 과정에서 한반도의 야경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그는 지난해 경제학자인 타일러 코웬과의 대담에서도"아내의 부모가 한국에서 태어난 만큼 한국이 가장 좋아하는 나라 중 하나"라며"그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한국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했으며 한국 경제학자들과도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다"고 말했다.또한 아제모을루 교수와 존슨 교수는 기술의 진보에 따른 부가 소수에 편중되고 있다고 지적한 '권력과 진보'라는 책을 지난해에 함께 펴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매경시평] 제국은 왜 실패하는가[매경시평] 제국은 왜 실패하는가질풍노도의 몽골제국은왜 그토록 빨리 무너졌을까가속의 시대 제국이 된 기업은더 빨리 일어나고 사라진다지금 중요한 건 무엇인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국은 왜 실패하는가 [매경시평]제국은 왜 실패하는가 [매경시평]질풍노도의 몽골제국은 왜 그토록 빨리 무너졌을까 가속의 시대 제국이 된 기업은 더 빨리 일어나고 사라진다 지금 중요한 건 무엇인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핵보유국' 운운한 北…국제사회는 핵보유국 지위 불인정'핵보유국' 운운한 北…국제사회는 핵보유국 지위 불인정(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국제사회에서 '핵보유국'으로 공식 인정받은 국가는 핵확산금지조약(NPT) 제9조 3항에 규정된 5개국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민주주의, 만능 아녀도 경제에 더 이롭다'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민주주의, 만능 아녀도 경제에 더 이롭다'(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올해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다론 아제모을루(57)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14일(현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낙태죄 헌법불합치 5년 헛바퀴…'정부·국회 입법공백 핑계만'낙태죄 헌법불합치 5년 헛바퀴…'정부·국회 입법공백 핑계만'(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임신 중지는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임신·출산·양육 같은 사회적 문제와 맞물려 일어납니다. 국가는 지금까지 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흑백요리사’ 군침이 싹 도네[양추리]‘흑백요리사’ 군침이 싹 도네[양추리]도파민 폭발, 요리 계급 전쟁의 서막 추석 연휴도 순삭, 왜 전체 공개 안했어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01:3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