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노숙자 수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가속화와 사회 안전망의 붕괴를 보여준다. '딱지남 시즌2'는 빵과 복권을 통한 욕망을 드라마로 묘사하며, 개인의 욕망과 사회 구조가 어떻게 연관되는지 탐구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숙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주택도시개발부는 2024년 1월 기준 노숙자 가 약 77만 명으로 집계됐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1년 전보다 무려 18%나 증가한 수치다. 프랑스에서는 일정한 거주지 없이 길거리나 쉼터, 공동 숙소 등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숙자 수가 약 33만 명(2022년 기준)이다. 지난해 프랑스에서 사망한 노숙자 는 최소 735명이다. 대한민국의 현실도 별반 다르지 않다. 보건복지부가 2022년 4월에 발표한 '2021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노숙자 는 8956명에 달한다. 경제 상황이 매년 나빠지고 있는 중이라 이 숫자가 줄어들지는 않았을 것이다. 급속히 늘어나는 노숙자 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악랄한) 자본주의 시스템이 더욱 가속화되고, 사회 안전망 이 붕괴되어 간다는 뜻이다. '이 빵을 버린 건 제가 아니라 선생님들입니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즌2에서 딱지남(공유)은 빵과 복권을 잔뜩 구입한 후 한적한 공원을 찾는다. 그는 그곳에 있는 노숙자들에게 빵과 복권을 내밀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말한다. 빵과 복권이 상징하는 건 명확하다. 전자는 일용할 양식이다. 눈앞의 배고픔을 해결할 수 있는 선택지다. 후자는 미래의 가능성이다. 물론 모두 알다시피 당첨될 확률은 매우 낮다. 노숙자들은 한 명도 빠짐없이 복권을 선택한다. 당장 허기를 채우는 게 우선인 것 같지만, 그런다고 한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이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걸까. 그들은 긁고 난 후 '꽝'이 된 복권을 보며 절망한다. 딱지남은 망연자실한 노숙자들 앞에서 빵을 쏟으면서 이 빵을 버린 건 당신들이라고 소리친다. 그리고 바닥에 떨어진 빵을 짓밟으며 한껏 조롱한다. 욕망을 통제할 수 있는가 드라마는 첫 회에 등장하는 가난한 이들이 더욱 가난해지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모두 빵을 선택하면 다 같이 굶주리지 않을 수 있지만, 사람들은 거기에 만족하지 못한다. 그 이상을 원한다. 복권을 통한 일확천금, 부의 독식을 좇는다. 확률은 0에 가깝지만, 나는 다를 것이라는 헛된 기대가 부나방이 되도록 이끈다. 앞서 노숙자로 이야기를 시작했지만, 빵이 아니라 복권으로 향하는 욕망은 특정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 모두에게 내재돼 있다. 일확천금을 누리고 주식, 코인 등에 투자하는 우리의 모습이 딱지남에게 조롱당하는 노숙자들과 얼마나 다를까. 마찬가지로 오징어 게임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은 저마다 경제적 빚을 지고 삶의 벼랑에 선 보통 사람들이다. 그들은 게임이 계속 진행되면 누군가 죽어 나간다는 것을 명확히 인지한 상황에서도 멈추지 않는다. 투표를 통해 게임을 중단할 기회가 여러 차례 있었음에도 '나는 아닐 거야. 한 게임만 더 해서 상금 챙겨서 나가야지'라는 생각으로 'Go'를 외친다. 기훈(이정재)은 이를 필사적으로 막아보려 애쓰지만, 자본주의가 굴러가는 이 욕망이라는 동력을 멈추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처럼 개인의 욕망과 탐욕을 통해 유지되고 더욱 가속화되는 자본주의 시스템 속에서 사람들은 철저히 유린당하고 있다. 각자도생의 기조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사회 안전망은 더욱 느슨해지고, 구멍은 숭숭 뚫려 있다. 그러다보니 낙오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바닥으로 떨어져 복권을 긁는 희망밖에 남지 않은 사람들은 극단적 게임으로 소환된다. 시즌2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한편, 어떻게 하면 이 악랄한 자본주의 시스템을 멈춰 세울 수 있을지 묻고 있다. 물론 그보다 우선해야 할 질문은 멈출 생각이 있느냐, 이 참혹한 구조 속에서 진짜 벗어날 의지가 있느냐일 것이다. 대답은 쉽지 않고, 탈출은 더욱 어렵다. 지난해 12월 26일 공개된 시즌 2는 엄청난 흥행 기록을 써내려가고 있다. 시청 기록을 집계하는 93개국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한다
넷플릭스 딱지남 시즌2 자본주의 노숙자 욕망 사회 안전망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2억520만 시청시간…'오징어게임2' 전작 기록 뛰어넘을까(서울=연합뉴스) 오명언 기자=세계인이 손꼽아 기다리던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일이 나흘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호평과 혹평 속 ‘오징어게임’ 시즌2 돌풍…하루 만에 92개국 1위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2가 엇갈린 평에도 전 세계에서 압도적인 인기를 달리고 있다. 28일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순위 집계 회사 플릭스패트롤 누리집을 보면, 지난 26일 공개된 ‘오징어게임’ 시즌2는 27일 92개국에서 1위를 차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랑의 기술: 우리 사회를 치유하는 강력한 처방전새해에는 물신화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랑이 부족함을 보태기 위해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이 강조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한민국은 국민 전체가 오징어게임 중오징어게임 시즌2 공개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제 악화로 인해 더욱 끔찍한 오징어게임을 겪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비상계엄 직후 ‘서울의 봄’, IPTV 시청수 1000% 치솟았다닷새간 넷플릭스 톱10 영화 1위…4일 시청수 1150건 폭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징어게임2 심상찮다’···넷플릭스 사상 최고가 돌파할까넷플릭스, 연중 100% 주가 상승 936달러 사상 신고가 기록도 오징어게임2 공개전에 골든글로브 후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