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정부 예산안의 총지출 규모가 애초 계획보다 최대 2조원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경기 둔화에 대규모 감세 정책을 이어온 탓에 내년 세수 전망이 악화하고 있어서다. 세수가 줄더라도 채무를 늘려 지출 재원을 마련할 수 있으나, ‘건전재정’ 기조에 얽매인 정부가 지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쪽으로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수 부진에도 허리띠를 더 졸라매는 결정인 터라, 정부 스스로 재정의 역할을 옭아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4일 한겨레에 “세입이 안 좋은데 재정수지 목표는 지키려다 보니 지출을 고강도로 억제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며 “상당한 수준의 지출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지출의 재원인 세수 상황이 여의치 않은 터라 기존 예산 사업의 규모를 대폭 줄이거나 폐지하는 쪽으로 내년도 예산안을 짜고 있다는 뜻이다. 정부 안팎에선 내년 예산 규모가 애초 계획보다 2조원 안팎 적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2025년 예산안의 예산 규모를 2024년에 견줘 4.2% 많은 684조2천억원으로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편성 중인 내년 예산 규모는 예산 증가율을 더 낮춰 682조원 안팎에 머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내년 경상성장률을 4.5%로 내다보고 있는 점을 염두에 두면, 현재 편성 중인 내년 예산안의 긴축 강도가 더 커지는 셈이다.정부가 ‘짠물 예산’을 편성하는 까닭은 세입 여건이 불투명해서다. 2년 연속 세수 결손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에도 세수 전망이 어둡다고 보고 있다. 애초 정부의 경기 전망에 견줘 내수 부진이 장기화된 영향이 크다. 특히 핵심 세목인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세수에 대한 불안감이 큰 상황이다.
내년도 예산안이 지난해와 올해에 이어 또다시 고강도 구조조정을 통한 ‘짠물 예산’으로 편성될 경우 정부가 재정의 경기대응 기능을 사실상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기초연금 등 고정적으로 지출이 늘어나는 의무지출이 내년부터 해마다 20조원 이상 불어난다. 이런 상황에서 예산 증가폭을 억누르면 경기 대응 용도로도 쓸 수 있는 재량지출은 거의 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은 내수 부진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에서 0.1%포인트 하향 조정해 2.5%로 수정한 바 있다.정부는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해 재정보다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조기 인하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경기는 부양될 수 있으나, 그 과정에서 가계부채가 늘고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는 등 금융 안정이 훼손될 우려가 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세수 위기' 속 상속세 4조 감세…부자감세론 '巨野의 벽' 난제(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박원희 기자=정부가 자본시장 밸류업, 내수 진작 등 경제 활력 제고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며 대규모 감세 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내소비 부진에도 해외소비는 활황…여행지급 4년째 증가세(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내수 부진에도 해외여행 규모는 5년 내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국외 소비는 활발한 대조적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0조, -3조, -18조…윤 정부 3년째 ‘감세 행진’ 재정건전성 흔든다기획재정부가 25일 발표한 ‘2024년 세법 개정안’은 윤석열 정부의 조세정책 깊숙이 ‘감세’라는 디엔에이(DNA)가 박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지난해 56조4천억원의 역대 최대 세수 결손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가 예고된 상황이지만, 초고소득·자산가를 위한 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가가 떼이더라도 먼저 주겠다”…임금체불 근로자 신속 지원하겠다는 김문수김문수 고용부장관 후보 인터뷰 내년 대지급금 예산 확대 추진 회수율 30%대로 낮아도 지원 개혁 초점은 노동약자 보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민 절반 '세법개정안 18조 4천억 감세, 복지·민생 정책 축소할 것'정부는 지난 7월 25일, 금융투자소득세(아래 '금투세') 폐지,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50%→40%), 최대주주할증 폐지, 가업상속공제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2024년 세법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세법개정안으로 2029년까지 18조 4000억 원(누적법)의 세수감소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56조 4000억 원의 세수결손이 발생했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닥 모르고 내려앉는 내수…소매판매 9분기 연속 ‘뚝뚝’대표적인 내수 지표인 소매판매액지수가 9분기 연속 줄며 역대 최장 감소세를 나타냈다. 고금리 여파로 이자 비용이 늘어난 데다 가구의 실질소득 감소로 소비 여력이 줄면서 내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