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사태 이후 처음 단행된 고위급 경찰 인사로 인해 야당이 연일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차기 서울경찰청장으로 거론되는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치안감)이 치안정감 승진자로 내정되는 등 이번 인사가 내란 수사를 방해하기 위한 '노골적 코드·보은 인사'라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인사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12·3 내란 사태 이후 처음 단행된 고위급 경찰 인사를 두고 야당이 연일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차기 서울경찰청장으로 거론되는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이 치안정감 승진자로 내정되는 등 이번 인사가 내란 수사를 방해하기 위한"노골적 코드·보은 인사"라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인사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6일 오전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최상목 대행이 어제 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 4건을 승인했는데 노골적인 내란 수사 방해를 위한 인사가 아닌지 의심스럽다"라며"노골적인 충성파 챙기기이자 용산 코드·보은 인사"라고 비판했다.
이어"나머지 3명의 경무관도 보통 3년이 걸리는 치안경감 승진을 1년 만에 초고속 패스한 경우"라며"대통령실과 최 대행이 경찰 고위급 인사를 '윤석열맨'으로 채우고 경찰 내란 수사를 방해할 속셈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을 고쳐 매지 말라고 했는데 최 대행은 의심받을 일체의 행위를 중단하길 바란다"라고 촉구했다. 이어"경찰공무원법에 따르면 경찰 총경급 이상 인사는 '경찰청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행정안전부 장관'이 제청해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데 최상목·고기동·이호영 세 사람 모두가 다 직무대행"이라며"최상목 대행은 헌법재판관은 임명하지 않고 경찰 최고위급 인사는 강행하는 이유가 무엇이냐. 무너진 헌정질서가 보이지 않느냐"라고 질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탄핵 국면서 재개된 일부 공기업 인사…야당 “내란 세력이 알박기” 비판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일부 산하 기관과 공기업 인사에 속도를 붙이면서 야당을 중심으로 ‘알박기 인사’ 비판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권한대행, '내란 특검법' 재의요구권 행사에 야당 비판야당은 최권한대행이 '내란 특검법'에 재의요구권을 행사한 것을 비난하며 책임론을 강조했다. 조국혁신당은 최 권한대행의 즉각적인 사퇴를 촉구하며 불응 시 탄핵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은 탄핵보다는 전략적으로 시간을 조율하여 재표결 시기를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2.7 탄핵박제 김미애] '바보죠, 윤석열은 바보입니다'105인 보이콧(17) - '모든 비판 겸허히 받겠다'와 '내란 체포쇼' 사이의 간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내란 사태 이후 방첩사, '충암파' 주도 인사 논란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사태 이후, 국군방첩사령부에서 첫 장교 인사가 '충암파' 주도로 이루어졌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재직 시절 사령관실에서 근무한 인물들이 요직으로 이동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 국가안보실에서 근무했던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의 아들도 사령관실로 발령받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 내란 연루 혐의 짙은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포함 논란5일 단행된 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 명단에 12·3 불법 계엄 연루 혐의가 짙은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을 비롯해 대통령실과 총리실 파견 고위 경찰이 다수 포함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경찰공무원법에 따라 총경 이상 고위직 경찰관의 인사권은 대통령에게 있는 만큼 표면적으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의중이 담겼을 것으로 관측된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들은'윤석열 의중이 100% 담긴 '내란 인사'다. 수사 대상자들이 기습 승진됐다'며 폭발 직전이다. 경찰 내부에서는'조기대선이 기정사실화되자, 친정권 성향 고위 경찰들을 주요 보직에 앉히는 소위 '여권 대선 승리조'를 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중 한국대사, 내란 이후 첫 브리핑 연기 논란윤석열 대통령 내란 사태 이후 첫 주중한국 대사 브리핑이 사흘 앞두고 공사참사관으로 대체되며 논란이 된다. 정재호 주중 한국대사는 가족 병환으로 사정상 연기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지난달 중순 귀국 예정이었으나 현재 윤 대통령의 탄핵 소추로 귀국명령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