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괜찮다고 웃어보였지만, 몸은 많이 야위어 있었습니다. 차별금지법_농성장의_하루
이종걸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대표와 미류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집행위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요구하며 단식농성 33일 째 이어가고 있다. 2022.05.13 ⓒ민중의소리미류 활동가는 농성장에 들어서자마자 밤새 이곳을 지킨 지킴이에 대한 걱정부터 쏟아냈다. 전날의 농성장 지킴이는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활동가들이다. 방금 전까지"입이 돌아가는 줄 알았다"며 얼마나 추웠는지 얘기하던 이들은 혹여 미류 활동가가 걱정이라도 할까"괜찮았다"는 말만 연신 반복했다.
날마다 소화해야 하는 정기적인 일정도 있다. 오후 1시부터는 동조단식을 하기 위해 시민들이 모이는데, 이들의 동조단식이 끝난 뒤 마무리 집회에 참석하고, 오후 7시에 열리는 저녁 문화제도 함께 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손뜨개로 별을 만들어 세월호 엄마·아빠에게 선물했다는 박은경 활동가와 랑 활동가는 손뜨개로 뜬 별과 소라 껍데기, 산호를 이용한 모빌을 만들어 미류·종걸 활동가에게 가져다줬다.고 김용균 어머니도 동조 단식故 김용균씨 어머니 김미숙 김용균재단 대표가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 촉구 동조단식에 동참하고 있다. 2022.05.13 ⓒ민중의소리막상 농성장을 가보니 자신의 삶을 걸고 싸우는 미류·종걸 활동가와 매일 이들 곁을 지켜주는 활동가들, 그리고 이들을 응원하는 수많은 시민은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있었다. 미류·종걸 활동가가 여전히 씩씩하게 싸울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두 사람은"이 싸움이 우리만의 싸움이 아닌 우리 모두의 싸움이라는 걸 알려주셔서 너무 큰 힘이 난다"고 입을 모았다.
"한 사람 한 사람은 보잘것없을지 몰라도, 그게 모이면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저도 겪어봐서 알고 있어요. 이런 마음이 모아져 큰 물결이 되고, 그래서 법이 통과되는 거잖아요. 어차피 단식하겠다고 마음먹은 만큼 하루빨리 단식을 끝낼 수 있도록 법이 통과됐으면 좋겠어요."대학원생인 전혜현씨도 같은 마음이었다. 전 씨는"차별금지법이라는 최소한의 안전망도 없으면 자신의 정체성 때문에 차별받거나 정말 위험해지는 사람이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며"이게 마지막 투쟁이라고 생각해서 동참하게 됐다"고 말했다.김광이 대표는"배제되어 본 적이 있는 사람은, 차별받아본 적이 있는 사람은 그 아픔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며"그 간절함으로 법 제정을 요구해 온 시간이 많이 흘렀는데도 진전이 없는 모습에 이렇게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국회 과반인 더불어민주당은 최근에도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공론화에 나서겠다는 뻔한 다짐만 내놨다. 미류·종걸 활동가는 이제 말뿐인 약속은 믿지 않는다. 두 사람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민주당의 모습에 답답함을 토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용산 대통령실 앞 첫 대규모 행진…성소수자단체 '차별 없애야'용산 대통령실 앞 첫 대규모 행진…성소수자단체 '차별 없애야' 연합 용산 차별금지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산에 울려퍼진 '대통령은 성소수자 혐오 멈춰라'용산에 울려퍼진 '대통령은 성소수자 혐오 멈춰라' 성소수자 차별금지법 윤석열 용산 주영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코로나로 21명 사망...김정은 '건국 이래 대동란'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북한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두고 “건국 이래 대동란”이라며 ‘중국식’의 강력한 방역 통제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산 집무실 인근 첫 행진...성소수자단체 '차별금지법 제정' 목소리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된 이후, 집무실 100m 이내 구간에서 처음으로 도보 행진이 이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차별금지법 제정하라'…'용산시대' 집무실 100m 이내 첫 집회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대통령 집무실이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이전된 이후 처음 맞는 주말인 14일, 대통령실 인근 등 서울 도심 곳곳에서 집회가 열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와대 하루 방문객 4만 명'…주말 '차 없는 거리' 시범운영서울시는 청와대 개방으로 청와대 일대 방문객이 급증함에 따라 보행자 전용 '차 없는 거리'를 두 달여간 주말마다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