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의 환경단체들이 정부와 부산시에 기후정의 정책을 펼칠 것을 요구했다. 100여개 환경·시민단체로 꾸려진 ‘9·23 기...
19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부산·경남의 환경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와 부산시에 기후정의 정책을 펼칠 것을 요구했다. 김영동 기자 부산·경남의 환경단체들이 정부와 부산시에 기후정의 정책을 펼칠 것을 요구했다. 100여개 환경·시민단체로 꾸려진 ‘9·23 기후정의행진 부산 추진위원회’와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은 19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와 부산시는 기후재난으로 죽지 않고 모두가 안전하게 살아갈 권리를 보장하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바다에 투기된 방사능 물질, 핵발전에 포획된 노동자들, 고리원전 핵발전소에 예정된 핵폐기장, 녹조와 난개발로 고통받는 낙동강 하구 등 우리가 사는 부산·경남에서도 기후정의에 어긋나는 다양한 양상들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상황인데도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은 퇴보하고 있고, 기후위기 주범인 기업들은 책임을 전혀 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고리 2·3·4호기 수명연장 중단 △오이시디 국가 중 꼴찌 수준인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5%이상 확대 △탈석탄동맹에 가입하고 석탄발전 폐기를 위한 법 제정 △생태계 파괴와 기후위기를 가속하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 중단 △낙동강하구 난개발 중단·재자연화 실현 △하동·삼천포 화력발전소 폐쇄 및 대송산단 엘엔지 발전소 추진 중단 등 요구안을 발표했다. 민은주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탄소 중립을 만들어내려면 핵이 아니라 재생에너지로 발전을 전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다. 핵발전 위주의 정책이 진행되어 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중앙·지방정부는 기후정의 정책으로 한 걸음도 나아가지 않고 있다. 시민의 힘을 모아 정부 정책을 되돌려야 한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추석 때 일본 상품 불매하자” 오염수 반대 불매운동 시작환경단체 “기시다 정부의 잘못된 결정 깨닫게 하고, 우리 정부에도 국민적 의사 확인시켜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29 참사 책임 부인, 박희영은 구청장 자격 없다” [포토]‘이태원 참사’ 유가족 박희영 용산구청장 사퇴 요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피니언 새 얼굴 만나보세요안희경·장강명 작가 등 기획연재…왜냐면 격주 3면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23기후정의행진, 갈수록 더 많은 시민이 참가 선언'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참여 선언... '탈석탄법' 등 요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아파트가격 25개구 동반상승21개월만…상승폭도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깜깜이 통계 전면 공개하고 민간委 권한 늘려 견제를'매경, 전직 청장 3인 인터뷰'통계처로 확대 개편 필요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