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침공 가속하는데…K-대항마 없어 종속 우려
"정부, 대기업·스타트업·학계 아우르는 생태계 조성하고 지원해야" 홍국기 기자=초거대 인공지능 GPT 시리즈를 필두로 글로벌 빅테크들의 AI 독점 현상이 심화하면서 이들과 경쟁할 국산 원천 기술 확보가 국내 테크 기업들의 선결 과제로 부상했다.
그러나 지난 3월에 출시된 GPT-4의 한국어 실력이 챗GPT 영어 실력을 능가한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오픈AI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GPT-4의 한국어 정확도는 77.0%로, GPT-3.5의 영어 정확도보다 높다.이를 계기로 한국어는 미국 빅테크 중심의 초거대 AI 경쟁 속에서 국내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보호막이라는 인식이 사실상 깨졌다.오픈AI는 챗GPT의 월 20달러 구독 상품을 출시하며 수익화에 시동을 걸더니 최근에는 챗GPT, GPT 등에 대한 상표권을 출원해 명칭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게 했다.더 큰 문제는 해외 AI에 의존하다 보면 국내 이용자가 생산하는 데이터가 해외 AI 원천기술 기업으로 흡수되거나 종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챗GPT가 텍스트와 이미지 데이터만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과를 생성한다면 트웰브랩스가 개발 중인 AI 모델은 훨씬 더 복잡하고 역동적인 데이터라고 할 수 있는 영상까지 함께 이해해 검색, 분류, 요약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특히 모델 개발을 위한 AI 학습 컴퓨팅 자원 확보 차원에서 오라클과 대규모 클라우드 파트너십을 맺었고, AI 학습을 위한 수천 개의 최신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를 확보해 초거대 모델 고도화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했다.정진우 트웰브랩스 최고운영책임자는"현재 영상 AI 모델에 대한 대규모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며"세계적으로 개발자들과 기업들이 해당 모델을 시험 중으로, 기술을 더 고도화해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신선한 기능과 독보적 기술력으로 세계인 주목받는 'K앱'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글로벌 모바일 앱 시장 규모가 2026년까지 2천330억 달러(센서타워 전망치)에 이를 것으로 저망되는 가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후쿠시마 오염수 韓시찰단 파견' 기시다 '우려 잘 인식'(종합2보) | 연합뉴스(서울·도쿄=연합뉴스) 김호준 박성진 특파원 한지훈 이동환 기자=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일정상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일정상회담] 기시다, 사견 전제 징용 유감 표명…공식 사죄는 없어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7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사견임을 전제로 일제 강점기에 '혹독한 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클리 스마트] 인공지능 규제 어떻게 해야 할까…국내선 신중론이 우세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규진 기자=생성 인공지능(AI)이 연일 화두에 오르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을 규제하는 방식을 두고도 갑론을박이 오가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구글 검색 바뀐다…'대화형 AI·짧은 영상으로 젊은층 공략'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정성조 기자=구글이 대화형 인공지능(AI)이나 짧은 동영상, 소셜미디어(SNS) 게시물 등 젊은 사용자들에게 더 친숙한 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