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최평천 조다운 김정진 기자=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11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정조준했...
"마지막까지 여당 책무 다할 것"…보수 지지층 결집 호소12·3 비상계엄 선포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계엄 선포 전후의 국정 혼란 책임이 이 대표에게 있다는 점을 부각하는 여론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권 원내대표는 또 추경과 개헌을 고리로 수세에 몰렸던 탄핵 정국의 분위기도 반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김주성 기자=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던 중 야당의 고성 섞인 야유에 웃음을 짓고 있다. 2025.2.11 [email protected]권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납득할 수 없는 조치"라며 사과했지만, 이러한 국정 혼란이 이 대표와 민주당의 '의회 독재'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이 추진한 29차례의 탄핵 소추, 23차례의 특검법 발의, 38차례의 재의요구권 유도, '갑질' 청문회 강행, 예산안 단독 처리를 열거하며 국정 혼란의 책임이 야당에 있다는 인식을 드러냈다.권 원내대표는"우리가 겪고 있는 국정 혼란의 주범은 바로 민주당 이재명 세력"이라며"국정 혼란의 목적은 오직 민주당의 아버지 이재명 대표의 방탄"이라고 말했다.그는"이 대표와 민주당이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바꾼 말들은 언제든 강성 지지층이 원하는 포퓰리즘으로 회귀할 것"이라며"정책과 노선을 수정할 의지가 있다면 노란봉투법과 국회증언감정법부터 폐기하라. 그렇지 못하면 이 대표가 외친 실용주의는 정치적 가면극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당 지도부는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전제로 한 조기 대선에 선을 긋고 있지만,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이 대표를 향한 반대 여론을 더욱 키우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권성동 '국정혼란 주범은 이재명 세력, 방탄 위해 헌정 파괴' [교섭단체 연설]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우리가 겪고 있는 정치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개헌이라고 확신한다'면서 '이제는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하고 제왕적 의회의 권력 남용도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국정 혼란의 주범, 국가 위기의 유발자, 헌정질서 파괴자는 바로 민주당 이재명 세력'이라면서 '국정 혼란의 목적은 오직 하나, 민주당의 아버지 이재명 대표의 방탄'이라고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권성동 “헌정질서 파괴자는 이재명 세력”…분권형 개헌, 추경 제안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1일 “민주당이 권력이 더 커지면 국민의 사생활도 통제하는 공포정치가 일상화될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비난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교섭단체 연설에서 “최근 민주당은 인터넷 커뮤니티, 카카오톡을 통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권성동 “국정위기 유발자는 이재명 세력”…국정혼란 야당 탓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감행한 원인으로 더불어민주당의 29번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권성동 “분권형 개헌 추진하자” 선거제 개편 제안도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우리가 겪고 있는 정치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개헌”이라며 분권형 개헌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낙연,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촉구하며 이재명 대표 정면 가격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10일 광주에서 열린 시국 토론회에 참석,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과 민주당 대선후보 교체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재명 대표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권성동,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 '윤정부 성과' 평가, '국가위기 유발자는 이재명 세력'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국 혼란에 사과하면서도 주범과 유발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세력'이라고 밝혔다. 그는 연쇄 탄핵안 발의, 특검법, 재의요구권 유도 등을 지적하며 의회 독재, 입법 폭력, 헌정 파괴를 비판했다. 또한, 윤석열 정부의 성과로는 거시경제 안정, 1인당 국내총생산 진입 등을 꼽았다. 그는 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여야 합의를 통해 최선의 제도를 찾아보자고 제안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