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북한이 기상 상황에 따라 조만간 다시 남측으로 풍선을 띄울 가능성이 있다고 31일 밝혔다. 다만 북한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포착된 건 아니라고 했다. 합동참모본부 관...
지난 29일 경남 거창에서 발견된 북한 대남 풍선. 경남도소방본부 제공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오는 6월 1일부터 북풍이 예고돼서 북한의 대남 풍선 부양이 예상된다”라며 “풍선이 부양되면 유관 기관과 협조해 대국민 안전조치를 최우선으로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대국민 안전문자의 발송을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할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만약 오물 풍선이 뜨면 낙하물에 조심, 유의하시길 바란다”라며 “오물 풍선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신고해달라”고 했다. 다만 북한의 풍선 부양 준비 활동을 포착한 건 아니라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8일 밤부터 남쪽으로 풍선 260여개를 날려 보냈다. 풍선에는 담배꽁초, 퇴비, 폐건전지, 폐천조각 등 각종 오물이 담겼다.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와 외교부 청사 옥상 등에도 풍선이 떨어졌다. 현재까지 화생방 오염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합참 관계자는 이날 대남 풍선에 대한 대응 방안을 두고 “풍선이 공중에 있을 때 유해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려워 요격할 수는 없다”라며 “지금까지 내용물은 모두 쓰레기였고, 낙하했을 때 신속하게 회수하는 게 현재로선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아주 저질스러운 행동이기 때문에 똑같이 대응하기에는 수준 차이가 있을 것”이라며 “북한이 남남갈등을 일으키려는 의도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에 의연하게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필요한 조치는 검토하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 29일부터 이날까지 서북도서 일대 쪽으로 위성항법장치 전파 교란 공격을 이어가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까지 GPS 교란으로 인한 군사작전 제한 사항은 없다”라며 “다만 민간 상용 GPS는 약간 장애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29일 풍선을 대거 날려 보낸 뒤 담화를 내고 “삐라 살포는 우리 인민의 표현의 자유에 해당되며 한국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것으로서 이를 당장 제지시키는 데는 한계점이 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튿날 입장문을 내고 “허울뿐인 표현의 자유를 우리와 같은 선상에서 논하는 것이 맞는지 묻고 싶다”라며 “북한은 당국의 감시 하에 주민의 의사 표현이 심각하게 제한받고 있다”고 맞받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사흘 새 오물풍선·방사포·전파교란, 북 긴장 고조 멈춰야북한이 28일 밤부터 29일까지 남쪽으로 날려보낸 오물 풍선 대남전단이 전국 각지에서 260여개나 발견됐다. 군 화생방신속대응팀과 폭발물해체반이 투입돼 수거·해체한 비닐봉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 ‘대남 풍선’ 260여개 발견…남한 전역에 ‘오물’ 뿌렸다북한 대남 전단 살포용 풍선 잔해 추정 물체가 발견됐다는 주민 신고가 전국에서 잇따라 접수되고 있다. 군 당국은 전국적으로 29일 오후 4시까지 260여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오물 풍선' 260개 도발…타이머로 분변테러 노려쓰레기·가축 배설물 담겨바람 타고 거창까지 날아가軍, 화생방·폭발대응팀 투입'北, 저급한 행위 당장 중단'한밤 공습경보 재난문자에일부 지역 주민들 불안떨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살포 '오물 풍선' 260여개 발견…새벽엔 GPS 전파교란 공격도(종합3보)(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김준태 기자=북한이 오물과 쓰레기를 담아 남쪽으로 날려 보낸 대형 풍선이 29일 전국에서 260여 개가 발견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오물 풍선' 260개 도발…타이머로 분변테러 노려쓰레기·가축 배설물 담겨바람 타고 거창까지 날아가軍, 화생방·폭발대응팀 투입'北, 저급한 행위 당장 중단'한밤 공습경보 재난문자에일부 지역 주민들 불안떨어김여정 '성의의 선물' 비아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오물 풍선, 최악의 경우 생화학 무기로 바로 바뀔 수 있어'■ 방송 : JTBC 유튜브 라이브 〈뉴스들어가혁〉 (평일 오전 8시 JTBC News 유튜브)■ 진행 : 이가혁 기자 / 대담 :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 시: JTBC 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