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파리에 물려 감염되는 국외유입 기생충 감염증인 ‘리슈만편모충증’ 환자가 국내에서 2년 만에 확인됐습니다. 질병관리청장은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비롯한 해외유입 감염병의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어 여행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모래파리. 질병관리청 제공 모래파리에 물려 감염되는 국외유입 기생충 감염증인 ‘리슈만편모충증’ 환자가 국내에서 2년 만에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7일 국내 리슈만편모충증 의심환자의 검체에서 감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인된 환자는 멕시코와 갈라파고스제도 등 중남미 지역을 여행하고 귀국한 뒤 증상이 나타나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다. 국내에서 리슈만편모충증 환자가 발생한 것은 2021년 이후 2년 만이다. 리슈만편모충증은 모래파리가 모기처럼 사람을 물고 피를 빨 때 리슈만편모충이 사람에게 감염되는 병이다. 국내에서 인플루엔자,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과 같은 4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돼 있다. 감염 부위에 따라 피부·피부 점막·내장 리슈만편모충증으로 분류된다. 이번에 국내에서 확인된 환자는 피부 리슈만편모충증으로 진단됐는데, 내장 리슈만편모충증의 치명률이 7%인 것과 달리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치명적이진 않다.
피부 리슈만편모충증에 걸리면 팔다리, 안면 등 피부 노출부에 구진, 수포, 결절, 궤양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 부위에 광범위한 흉터가 생기는 등 장기간 피부 이상을 초래할 수 있어 감염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리슈만편모충증의 매개체인 모래파리가 국내엔 서식하지 않아 국내 발생 가능성은 없다. 1978년 국내에 최초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국외유입사례 29건이 확인됐다. 리슈만편모충증 유행 지역은 멕시코와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중앙아시아, 남유럽 등이다. 질병청은 이들 지역 방문 때 모래파리 활동시간대인 야간에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긴 옷을 입어 노출을 최소화하며 노출되는 피부에는 기피제를 바르면 리슈만편모충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비롯한 다양한 해외유입 감염병의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어 여행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태안 산악회, 한국100대 명산 정상에 서다태안 산악회, 한국100대 명산 정상에 서다 태안산악회 태안군 한국_100대_명산_완주 신문웅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위기 이후 최악 성적표에 ‘7만 전자’ 깨진 삼성전자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실적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 이후 14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후쿠시마 사고때 바다, 방류수보다 방사능 높았으나 우리 영향없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가 일어났을 때 바다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 농도가 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커버그, 머스크에 '넌 뭐야' 밈…스레드 첫날 일단 '잽'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메타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가 '적진' 트위터 계정에 11년 만에 등판해 '넌 뭐야'라고 따지는 뜻...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