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8월 17일 회의 후 달라진 '채 상병 사망' 조사 보고서...폭탄으로 떠오른 국방부 조사본부
국방부 조사본부는 국군의 최고수사기관으로 채 상병 사건을 처음 조사했던 해병대수사단과 마찬가지인 군사경찰 조직이다. 그런데 채 상병 사건 수사와 관련한 문서들의 생산 시기와 내용을 살펴보면 중요한 변곡점이 보인다. 바로 ' 2023년 8월 17일 이종섭 국방부장관 주재 회의 이후 판이하게 달라진 보고서 내용'이다. 한 걸음 더 들어가 살펴보면 달라진 결과의 배경을 알 수 있는 '단서'도 확인된다.2023년 8월 2일 국방부 검찰단은 이전에 해병대수사단이 경찰로 넘겼던 조사기록을 되찾아온다. 그로부터 일주일 뒤인 8월 9일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조사본부에 재검토 지시를 내린다.
또한 이를 근거로 임 전 사단장 등 6명에 대해 혐의가 있다는 의견을, 2명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리하면 국방부장관의 지시에 따라 재검토를 한 결과, 해병대수사단 조사결과와 비슷하게 임 전 사단장을 포함한 간부 6명에 대해 '혐의가 있다'고 본 것이다. 이 자리에는 유재은 법무관리관과 김동혁 국방부 검찰단장도 참석했다. 회의 중"처벌 대상인지 판단을 빼고 사실관계만 적어야 한다""2명만 처벌 대상이 확실하다"는 말이 오갔다고 한다. 특기할 만한 점은 이 같은 주장을 펼친 이들이 모두 군 법무조직 관계자들이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조사본부는 왜 굳이 이런 흔적을 남겨놨을까. 복수의 군 관계자들은 그 이유를 과거 2013년 국군사이버사령부의 댓글공작 사건, 2017년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문건 사건 관련자들의 처벌 사례 때문이라는 데 대체적으로 견해를 같이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임성근 뺀 외압 흔적' JTBC 보도에…공수처 '개연성 있다'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출처=연합뉴스〉〈JTBC 뉴스룸〉은 어제(10일),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국방부 조사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의힘 최고위원도 “이해 안 돼” 고백한 ‘채상병 사건’ 관한 대통령실 설명김용태 “해병대수사단의 혐의자 특정이 월권이라면서, 국방부 조사본부는 왜 혐의자 두 명 특정했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국방부 조사본부 ‘채 상병 수사 축소’, 진상과 윗선 밝혀야해병대 수사단의 채모 상병 사망사건 수사를 재검토한 국방부 조사본부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해놓고 최종 보고서에는 담지 않은 사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성근 진술, 실무진과 달라”…국방부 조사본부 보고서에서 드러난 사단장의 ‘변명’국방부 조사본부가 지난해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사건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결과를 재검토하면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과 현장 실무진 진술이 배치되는 정황을 확인한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종섭측 '尹통화, 공개 않을 것'…박정훈측 '증거 신청해 확보'(서울=연합뉴스) 이보배 이도흔 기자=해병대 채모 상병 수사 외압 의혹의 대척점에 서 있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화 안 받았다던 이종섭, 통화기록 나오자 '지시 없었단 취지'(서울=연합뉴스) 김다혜 권희원 기자=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중심 인물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속속 등장하는 정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