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반대”

대한민국 뉴스 뉴스

국민 10명 중 6명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반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성인 1002명 대상 NBS 여론조사

78년만에 고국 땅으로 돌아온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2021년 8월15일 오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임시 안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육군사관학교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를 앞장서 주장해온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이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6명가량은 흉상 철거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여론조사기관인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1~13일 전국 만18살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58%가 육사 교내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에 반대했다. 찬성은 26%, 모름·무응답은 17%였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에서는 반대가 80%에 달했고 찬성은 12%에 그쳤다. 중도층에서도 반대가 66%로 과반이었고, 찬성은 20%였다. 보수층에서는 찬성이 반대보다 2%포인트 높았다.

연합뉴스 앞서 지난해 10월 신 후보자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홍범도 장군은 자유시 에서 독립군의 씨가 마르는 데 주역이었고 레닌의 권총도 받고 소위 소련군이 됐는데 굳이 이분의 흉상을 육사에 세워야 하냐”며 흉상 철거를 주장했다. 최근 국방부 역시 “자유시 참변과 연관돼 있다는 의혹”을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이유의 하나로 내세웠다. 하지만 전두환, 김영삼 정부 당시에도 국방부 소속 기관이나 당시 국가보훈처는 홍범도 장군을 자유시 참변의 피해자로 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보훈부의 전신인 국가보훈처가 전두환 정권 때인 1987년 작성한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4권에 있는 홍범도 장군 부분을 보면 “1921년 6월 소련 공산당의 배반으로 독립군은 무장이 해제되고 포로가 되는 등 소위 ‘자유시 참변’을 겪게 되었다”고 적혀 있다. 이 공훈록에는 국방부가 밝힌 자유시 참변 연관 의혹이 전혀 없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11 11: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