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의 산업기술인력이 8년 연속 감소하던 추세에서 벗어나 0.8% 증가하며 반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를 알렸다.
전남 지역 조선업 계에 신규 취업한 노동자들이 기술 훈련을 받고 있다. 전남도 제공. 국내 조선업 의 산업기술인력 이 8년 연속으로 감소하던 추세에서 벗어나 0.8% 증가하며 반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4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기술인력 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 관련 관리자·기업 임원 등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을 말한다. 산업부는 지난 7월29일∼10월18일 근로자 10인 이상의 전국 2만1086개 표본 사업체를 대상으로 지난해(2023년) 말 기준 산업·직종·지역별 현원 및 부족 인원, 구인·채용인력 등의 실태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전체 산업기술인력 규모는 171만6846명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1.0%(1만7172명) 증가했다. 전체 인력 규모는 2021년 1.4%, 2022년 1.1% 등으로 매년 소폭 증가했다.
기계·디스플레이·반도체·바이오헬스·섬유·자동차·전자·조선·철강·화학·소프트웨어·정보기술(IT) 비즈니스 등 12대 주력 산업의 산업기술인력 현원은 총 114만2482명으로, 전년 대비 1.2%(1만3993명) 증가했다. 12대 주력 산업 가운데 섬유(-0.9%), 디스플레이(-0.1%) 산업만 전년 대비 산업기술인력이 감소했다. 반면 반도체(4.4%), 바이오 헬스(4.0%) 산업의 산업기술인력 증가가 두드러졌다. 조선 산업의 경우 8년 연속 산업기술인력 감소세에서 벗어나 0.8% 증가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조선 산업에서 외국인 비중은 9.5%로 전년 대비 6.2%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산업의 산업기술인력 중 부족 인원은 3만9190명으로 전년 대비 1.9%(714명) 증가했다.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 중 부족 인원은 3만596명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2.7%(813명) 늘었다. 산업부는 “주력 산업별로 부족률 증감은 최근 5년간 0.1∼0.2%포인트 범위에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소프트웨어, 바이오헬스, 화학, 섬유 산업의 경우 3∼4%대로 다른 주력산업에 비해 부족률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6년 만의 미투, 60년 만의 재심1964년 성폭행을 저지른 가해자의 혀를 물었다는 이유로 징역형을 받은 한 여성이 대법원의 재심청구를 받아들여 56년 만의 미투, 60년 만의 재심이 가능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만이 수직저출산 고령화 심화로 국내 빈 일자리 채우기 힘든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의존 의존도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심뇌혈관질환 발생 증가, 노인 중 뇌졸중·심근경색 환자 증가2022년 심뇌혈관질환 발생 통계, 심근경색·뇌졸중 환자 증가 및 치명률 고위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로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려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무장한 계엄군이 국회 건물을 진입하였습니다. 이는 1979년 이후 45년 만의 비상계엄 선포이며, 탄핵과 예산 정국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화가치, 15년 만에 최저치 경신강달러와 국내 정치 불안으로 원화 가치가 1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표만 보면 금융위기급···1450원대 환율, 6개월째 하락중인 코스피최근 국내 금융시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공포를 떠올리게 한다.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450원대에 올라서며 15년 만에 최고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