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로야구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을 찾은 직장인 A씨는 음료캔을 버...
최근 프로야구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을 찾은 직장인 A씨는 음료캔을 버리려다가 구분 없이 버려져 있는 쓰레기더미를 보고, 캔을 어디다 버려야할지 한참을 고민해야 했다. A씨는 “캔이나 금속류를 버리는 통은 재활용이 안 되는 다른 쓰레기들과 뒤섞인 채 꽉 차 있었다”며 “쓰레기 더미가 무너지지 않도록 살짝 올려놓고 올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경기당 많게는 2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프로야구 경기장에서 여전히 쓰레기 분리배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품 역시 대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현재 2023년 관중 수가 700만명을 넘어선 프로야구가 더 이상 쓰레기 배출에 있어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는 스포츠로 남아있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녹색연합 조사 결과 9개 구장 모두에서 음료가 담긴 컵, 잔반이 남은 음식 용기, 캔, 페트병과 일회용 플라스틱컵, 종이 상자와 봉투 등이 모두 한꺼번에 버려지고 있었다. 음식물 쓰레기통이 적절히 배치되지 않은 탓에 야구장을 찾은 이들은 남은 음식물과 음료를 한곳에 버릴 수밖에 없는 상황도 확인됐다. 시민들이 분리 배출을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는 상태인 것이다. 2018년 환경부가 발표한 제5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스포츠시설에서 발생한 폐기물 총 6176t 중 약 35%인 2203t이 야구장에서 발생했다. 특히 이들 쓰레기는 9개 야구장에서 모두 예외없이 혼합되어 버려지고 있다. 1995년부터 시행됐으며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일상으로 자리잡은 쓰레기 분리배출에 있어 야구장은 사각지대인 셈이다.일회용품 사용 역시 버젓이 이뤄지고 있었다. 2022년 11월24일 개정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체육시설에서의 합성수지재질 일회용 응원용품은 사용이 금지되었다. 하지만 프로야구장 9곳 가운데 막대풍선 사용 금지가 법률에 의거한 내용이라는 사실을 고지하고 있는 곳은 단 1곳 밖에 없었다. LG트윈스와 두산베어스의 홈구장인 잠실야구장과 기아타이거즈 홈 구장인 광주 챔피언스필드 입구에서는 일회용 막대풍선을 버젓이 판매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날씨] 오늘 산발적 약한 비...추석 연휴 쾌청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오늘, 중부 곳곳에 약한 가을비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모한 도전, 그게 되더라”…김대진 총장 “클래식, 케이팝을 배워야”‘피아노 오케스트라’공연 앞둔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급증하는 임금체불, ‘한시 감독’ 대신 처벌강화 법 개정해야추석연휴를 앞둔 지난 25일 고용노동부와 법무부가 임금체불 근절 의지를 담은 대국민 담화문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예전만 못한 추석 대목? 물가 너무 올라, 손님 줄었다추석 하루 앞둔 홍성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000% 늘어난 제주 외국인 관광객…'다이궁' 수십미터 오픈런27일 제주도관광협회(관광협회)에 따르면 추석 연휴 하루 전날인 이날부터 10월 3일까지 일주일간 국내·외 관광객 28만5000명이 제주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다. 관광객 이동이 시작되는 27일 4만 4000여 명, 28일 4만 3000여 명, 30일 4만 5000여 명, 10월1일 3만 8000여 명, 2일 3만 6000여 명, 3일 3만 5000여 명 등이다. 올 추석 연휴 하루 전날인 27일부터 10월 3일까지 일주일간 제주를 찾을 것으로 보이는 내국인 관광객은 22만 59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9만 1296명보다 22% 줄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는 생명안전 개악 중단하라'화섬식품노조 공동행동에 700명 손피켓 인증샷 참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