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의 씨네만세 681] 제2회 반짝다큐페스티발
어느 영화제에서 모더레이터 제안을 해왔다. 영화가 끝나고 감독 및 관객과 대화하는 GV행사 사회를 맡아달란 이야기. 평론가로 활동하며 여기저기 글 제안이며 강의는 꾸준히 맡아왔으나 모더레이터는 처음이다. 기꺼이 기쁜 마음으로 수락하였다.내가 맡은 세션은 영화제 마지막 날 오전이었다. 모두 세 편의 중단편 영화가 상영된 뒤 감독들과 대화를 진행한다. 세 편 영화 사이 특별한 공통점이 없다는 언질을 받았으나 가만 보니 은근한 공통점이 보이는 듯도 했다. 모두 사람 사이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란 것이었다. 유독 이 영화가 반가웠던 건 전년도 보았던 어느 영화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에 위치한 공부방의 이야기 가 바로 그 영화였다.기찻길옆작은학교는 이촌향도와 도시화의 흐름 가운데 태동한 공부방 운동의 일환으로 설립된 지역 공부방이다. 아이들의 부모가 일터로 나간 동안 쪽방에 남겨졌던 아이들에게 교육과 돌봄을 제공하는 운동을 지역 교육자며 활동가들이 이어왔던 터다.
고립으로부터 아이를 구하고 제도가 미처 해내지 못한 교육과 돌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을 이곳 교사들은 묵묵히 감내해왔다. 그 시간이 무려 38년이나 되었다. 가 그린 건 공부방의 나날들, 제도권 바깥에서 매년 희망과 고난의 시간을 반복해 겪어내던 기찻길옆작은학교의 풍경이었다. 또한 기찻길옆작은학교의 이야기다. 가 공부방 그 자체를 주인공 삼아 이야기를 끌어갔다면, 는 그곳 아이들이 적극 참여해 인형극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았다. 두 편을 모두 감독한 심상범은 주역들 가까이 다가서 그들의 내밀한 이야기를 인터뷰며 일상 다큐의 형식으로 잡아낸다.이야기는 어느 인형극 시상식으로부터 시작한다. 대상의 주인공은 칙칙폭폭어린이인형극단, 전년도에 이어 연이은 수상이란다. 그로부터 다큐는 수상작 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차근히 소개한다. 말하자면 다큐 는 동명 인형극의 메이킹 필름쯤이 되겠다.인천 만석동에 위치한 기찻길옆작은학교가 다큐의 배경이다. 교사와 학생들이 만드는 극이 몇 달 뒤 춘천에서 열리는 인형극에 출품될 예정이다. 초등학생이 대부분인 아이들이 공부방 교사와 함께 역할과 배역을 나누고 소품을 만들고 합을 맞추어간다. 한 편의 인형극이 만들어지기까지 연기하는 배우와 목소리 내는 성우, 소품담당까지 어느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게 없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 잡는 ‘포트홀’ AI 로봇이 잡는다도로에 생긴 작은 균열을 메워 ‘포트홀(노면에 생긴 구덩이)’로 확대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인공지능(AI) 자율로봇이 야외 주행시험을 통과했다. 포트홀 방지 목적의 로봇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은퇴 후 시골살이는 다 이 사람 덕분입니다[갑이네 시골살이 2] 눈에 띄게 달라진 아내의 변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행복해지려면 이러면 되는구나, 이제 알았습니다책 , 그리고 몇 달간의 글쓰기 연습이 내게 준 변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도교육청, 교육활동 중심 학교교육지원 16대 과제 추진학교가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교무행정 분야의 실질적 변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침묵 깨고 지원유세 나선 박용진... 험지만 골라[현장] 31일 송파 올림픽공원에서 시작 "민주당 변화 말하며 중도층 돌려세울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 18세 될때까지 매달 20만원…양육비 선지급안 나왔다한부모가정 양육비 지원 중위소득 100% 이하 확대 대상 1만9천명으로 늘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