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 주담대 분석해보니당국 '고정금리비율 30%이상'신한 63% ·우리 40% 달성정부, 커버드본드 발행통해만기 10년넘는 대출 활성화
만기 10년넘는 대출 활성화 금융당국이 은행에 연말까지 올해 정책대출을 제외한 자체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을 30%까지 늘릴 것을 주문했지만, 현재 4대 시중은행 중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만이 목표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두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은 아직 10%대를 넘기지 못했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최근 대세가 된 주기형 상품 대신 당국이 과거 고정금리 대출 성격으로 인정했다가 제외한 혼합형 상품을 중점적으로 판매해왔던 전략을 대폭 수정해 부랴부랴 고정금리 주담대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는 한발 더 나아가 현행 주기형 대출만으로는 차주의 금리 변동 위험성이 남아 있다는 판단에 장기 고정금리 주담대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봤다. 이에 주요 장기자금 조달 수단인 커버드본드 발행 활성화에 나서며 은행권의 장기 고정금리 주담대 확대를 독려하고 있다.
반면 같은 달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의 주담대 잔액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약 5%, 10%에 머물렀다. 이들 은행에서 전체 주담대 중 고정금리 비중은 지난해 말에도 국민은행은 2%, 관련 상품이 아예 없었던 하나은행은 0%였다. 현재 고정금리 비중이 부진한 은행들은 그간 혼합형 대출 판매에 집중해왔다. 5년 뒤 변동금리 대출로 바뀌긴 하지만 최초 5년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혼합형 대출은 당초 당국이 관리하는 지표 중 고정금리 대출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 주담대 잔액에서 혼합형 대출 비중은 국민·하나에서 과반을 차지했다. 반면 신한은행은 2016년부터 혼합형 상품을 없애고 고정금리 상품을 판매하는 데 집중했다. 우리은행도 2019년 주기형 금리를 도입해 2020년부터 주력 판매해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주담대 금리 높은데 ‘이 은행’으로 갈아탈까”…공격영업 나선다는데정부, 가계대출 자제 주문에 올들어 주담대 급증 KB·하나 증가폭 줄이려 금리 인상 단행 농협도 금리 높이는 방안 검토 우리銀 주담대 1.5조 증가 그쳐 “타행에서 대환대출 끌어올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리 더 낮고 한도 더 많은데 왜 안해?”…주담대 신규 10명중 7명 ‘이것’ 선택5대 시중은행 주담대 분석 1월 고정금리 비율 41.6% 지난달에는 74%로 높아져 ‘5년 단위’ 고정형상품 급증 금리 저렴하고 대출한도 많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정부 압박에도 시장선 오히려 내렸네”…가계빚 줄이기 ‘첩첩산중’6월 가계대출 3년여만 최대 증가 당국, 대출 확대 자제 요청했지만 금융채 금리 하락세 주담대 영향 신한·우리·농협 등 금리 내려 KB도 다음주 월요일에 반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출여력 있는 우리銀, 주담대 '환승' 공략주담대 증가폭 다른 은행 절반금리 안 올려 대출경쟁력 강화정부 '가계빚 확대 자제' 주문KB·하나는 금리 문턱 높이고 NH농협도 대출 관리 조일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리 낮고 한도 많아' 고정금리 주담대 급증신규대출 중 고정금리 비율연초 41%에서 6월 74% 껑충5년마다 금리 고정 '주기형'하나·농협銀 등 판매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번 기회에 빚내서 집사자”…은행 가계대출 잔액 1115조5천억원 ‘사상최대’올 들어 주담대 증가폭 최대…6월 6조3000억원↑ 상반기 중 주담대 26조5000억원↑…3년 만에 최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