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의 조상은 앨버트로스처럼 대양을 날던 바닷새였습니다. 그러나 비행능력을 버리고 잠수 사냥꾼이 된 펭귄은 진화 초기 몸집을 거대하게 키웠음이 화석 연구로 밝혀졌습니다. 🔽 애니멀피플 기사보기
공룡멸종 빈자리서 몸집부터 키운 듯 5700만년 전 뉴질랜드 해안에는 몸무게가 150㎏이 넘는 거대 펭귄이 다른 다양한 펭귄과 함께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느러미 팔은 현생 펭귄보다 바다오리에 가깝다. 시몬 지오바나르디 제공. 펭귄의 조상은 앨버트로스처럼 대양을 날던 바닷새였다. 그러나 비행능력을 버리고 잠수 사냥꾼이 된 펭귄은 진화 초기 몸집을 거대하게 키웠음이 화석 연구로 밝혀졌다. 다니엘 크세프카 미국 브루스 박물관 고생물학자 등 국제연구진은 ‘고생물학 저널’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2017년 뉴질랜드 남섬 오타고 해변에서 발견된 일련의 펭귄 화석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화석 가운데 하나는 위팔뼈 길이가 30㎝ 가까웠는데 연구자들이 다른 화석과 바닷새, 현생 펭귄의 뼈와 비교한 결과 체중이 154㎏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했다. 무게 22∼45㎏인 현생 최대 펭귄인 황제펭귄보다 3배 이상 무겁다.
대멸종으로 바다를 주름잡던 모사사우루스 같은 대형 해양파충류가 멸종했지만 물개와 고래의 조상은 아직 바다로 진출하기 전 생태계의 빈자리에서 마음껏 먹이를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중생대 말 공룡과 함께 멸종한 해양파충류 모사사우루스의 상상도. 드미트리 보그다노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이 추정한 쿠미마누 펭귄의 키는 157㎝로 뚱뚱한 편이었지만 여러 이점이 있었다고 밝혔다. 크세프카 박사는 케임브리지대 보도자료에서 “몸집이 큰 펭귄은 더 큰 먹이를 붙잡을 수 있다”며 “그러나 더 중요한 건 찬 바닷물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더 넓은 서식지로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생대 초 따뜻한 기후에서 진화한 펭귄은 이후 남극에 빙상이 생기면서 남극해의 찬 바다로 퍼져나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 푼 없던 예산이 한 번에 27억으로…지역구 챙기기 '여전'올해 정부가 쓸 예산은 638조 7천억 원입니다. 항목별로 국회의 증액과 감액을 거치면서 정부안보다 3천억 원 정도 줄어든 건데, SBS가 시민단체와 함께 예산안 심의과정을 분석해 보니 여전히 지역구 챙기기 예산, 석연찮은 예산 늘리기가 많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농장 탈출한 말들 도로 질주하다 '쾅'제주의 한 농장에서 말 열여섯 마리가 한꺼번에 탈출했습니다. 새벽 시간 도로를 달리던 차량들이 갑자기 나타난 말떼와 부딪혔고, 사람은 괜찮았지만 말 한 마리가 죽었습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망치로 강아지 학대, 야생동물 방치···동물카페 점주 구속서울 마포구의 한 동물카페에서 강아지를 둔기로 여러 차례 내려쳐 죽이는 등 잔혹하게 동물학대를 한 카페 업주가 구속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