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특목고 폐지... 물 건너갔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고교학점제, 특목고 폐지... 물 건너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3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1%

2028 대입 개편안 경쟁교육 더 심화... 개편 아닌 개혁해야

입시 경쟁이 극도로 치열한 한국의 현실에서 '완벽한 대입제도'란 있을 수 없다. 그동안 수도 없이 대입제도 개편이 이루어졌지만, 그때마다 '풍선효과'로 뜨거운 논란이 일었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학생부 종합전형 등 수시모집 제도를 도입하면 '공정성' 문제가, 공정성을 높인다고 정시모집 비중을 높이면 '학교 간 교육격차'와 '사교육 팽창' 문제가 등장했다.

이쯤 되면, 도대체 무슨 얘기를 하고 싶은 거냐고 반문할 것이다. 독일이나 프랑스, 네덜란드 등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경쟁교육 철폐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오랜 기간 공론화와 숙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런 근본적 개혁은 시도조차 하지 않은 채, 정권이 바뀔 때마다 포장지만 교체하는 대입 개편은 국민을 혼란에 빠뜨리기만 할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하지만 이달 10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8 대입 개편안은 고교학점제를 사실상 무력화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게 했다. 내신 5등급 상대평가 병기 및 수능 9등급제 유지는 '따뜻한 아이스 커피'처럼 고교학점제와 엇박자를 낼 수밖에 없다. 학교는 무늬만 고교학점제일 뿐 사실상 수능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밖에 없고, 학생들 역시 입시에 유리한 과목 위주로 '편식'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는 자사고·외고·국제고 등 특목고의 폐지를 추진했다. 특목고가 살인적 입시 경쟁교육과 망국병이라 일컫는 사교육 팽창의 주범이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 2020년 당시 교육부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서 자사고·외고·국제고의 설립 근거를 삭제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산업장관 '겨울 오기 전 전기료 인상 협의 중'산업장관 '겨울 오기 전 전기료 인상 협의 중'R&D 예산 삭감 지적에는'모래에 물 붓는 방식 안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교학점제 퇴색' vs '공정성 강화'...대입개편 진통'고교학점제 퇴색' vs '공정성 강화'...대입개편 진통[앵커]교육부가 발표한 2028 대입 개편 시안을 두고 진통이 커지고 있습니다.현 교육상황에서 큰 무리가 없는 대입안으로 학부모들은 70% 이상 찬성한다는 조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교학점제 퇴색' vs '공정성 강화'...대입개편 진통'고교학점제 퇴색' vs '공정성 강화'...대입개편 진통[앵커]교육부가 발표한 2028 대입 개편 시안을 두고 진통이 커지고 있습니다.현 교육상황에서 큰 무리가 없는 대입안으로 학부모들은 70% 이상 찬성한다는 조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규모 인질 협상 중'...지상전 딜레마 빠진 이스라엘'대규모 인질 협상 중'...지상전 딜레마 빠진 이스라엘[앵커]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이스라엘이 지상전 개시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습니다.하마스에 억류된 인질 때문인데, 주변국과의 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힘만 있는 서울시의회 인권특위, 기본조례 위반?국힘만 있는 서울시의회 인권특위, 기본조례 위반?민주당 '보이콧'에도 구성 및 위원 선임 완료... 현행 학생인권조례 폐지 수순 밟을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 제약사도 ‘물 먹는’ 병…韓 첫 치매 정복 노리는 ‘알약’글로벌 제약사도 ‘물 먹는’ 병…韓 첫 치매 정복 노리는 ‘알약’유전자 변이 때문에 발생하는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beta amyloid plaque)나 신경세포 내부의 결합 단백질인 타우 덩어리(tau tangles)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다음으로 FDA의 승인이 유력한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일라이 릴리의 아밀로이드 베타 표적 치료제 ‘도나네맙(Donanemab)’이다. 미국에서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의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아리바이오가 가장 앞서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8: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