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미만 예금에 64조 단기 적금도 대거 출시
26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만기 6개월 이하인 정기예금 상품의 수신 잔액은 64조4000억원이었다. 2020년 말 21조7000억원에 비해 3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정기예금 상품은 632조원에서 927조원으로 46% 증가했다.
과거 시중은행은 일반적으로 연 단위 예금을 받는 걸 선호해왔다. 수신 잔액을 연 단위로 안정되게 운용하려는 차원이었다. 고객도 가급적 연 단위 예금이 편했다. 만기가 너무 빨리 돌아오면 은행에 찾아가 원리금을 받고, 또다시 투자 상품을 찾는 과정이 번거로웠기 때문이다. 또한 금리는 보통 장기가 단기에 비해 높기 때문에 오래 묶어두는 게 유리하기도 했다. 인터넷은행 출범도 한몫 했다. 인터넷은행은 후발 주자인 만큼 기존 오프라인 금융사에 없던 구조의 상품을 다수 내놓으며 고객에게 어필했다. 이를테면 2018년 카카오뱅크가 ‘26주적금’을 출시한 이래 1년도 안 돼 80만개 계좌가 팔리며 돌풍을 일으켰다. 소액으로 짧은 기간 적금할 수 있다는 점이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도 인터넷은행은 한 달짜리 만기 적금, 이자가 매일 쌓이는 파킹통장 등을 출시하며 오프라인 은행을 위협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높아지는 금리, '초단기 상품' 인기 급증경제 불확실성 속 초단기 상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설에 우리 카드 쓰면 할인해드려요”설에 소비 몰리는 대형마트 등서 자사 카드 쓰면 할인 등 혜택부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뱃돈, 상여금 효율적인 투자 방법은?1년 이상 안정적 투자는 '예금', '우대금리'도 챙겨야 하고, MMDA, 유동적 운용, 리스크감수 초단기 'MMF'도 지난해 '절세 혜택' ISA, '안정성 추구' ETF 등 인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거버넌스포럼 “LG CNS 상장으로 지주사 주식 살 이유 없어져”이남우 회장 “이제 지주사인 LG 주식을 살 이유 없어” 이번 IPO의 배경으로 2대주주 PE 엑시트 꼽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해 '다이어트' 목표라면...일상부터 설 연휴까지 쉽고 제대로 하는 법 [쿠킹]GS25가 1월 1일부터 12일까지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구마(109.1%), 잡곡밥(84.9%), 샐러드(39.3%), 닭가슴살(29.6%), 단백질 음료(20.8%) 등 식단 관리 상품 매출이 직전 동기 대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아침엔 레몬수, 점심은 한식, 저녁은 아보카도 다이어트 식단이라고 하면 한가지 영양소에만 치중해 극단적이거나 무조건 절제해야 할 것 같지만, 원리만 알면 쉽고 건강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근당건강의 ‘지엘핏 다이어트’는 장 건강과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듀얼 케어 다이어트 유산균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혐한 감정에 태국 관광객 줄어들다, 일본에 몰리고 한국 국내 인사난 심화태국에서 혐한 감정이 고조되면서 한국행 관광객이 줄어들고 일본으로 몰리는 추세다. 한편 한국관광공사는 해외 지사장 공석 등 인사난으로 인해 전략 부재 지적을 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