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찾는 '편도족'…치솟는 물가, 빅스텝으로 잡힐까 SBS뉴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금리를 많이 올릴 거라는 전망이 많았잖아요. 이런 분위기가 어제 증시에도 반영이 됐다고요.장중 2천300선이 위협받을 정도로 떨어지기도 했고, 코스닥은 2% 넘게 떨어져서 750선에 턱걸이하며 장을 마쳤습니다.해외 역시 비슷한 상황인데요, 중국에서도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세를 보이면서 마카오 지역을 1주일간 봉쇄하기로 한 소식에 투자심리 많이 위축됐습니다.미국 물가지수가 우리 시간으로 오늘 밤에 발표가 된다고요. 그러면 보니까 시장에서 기대하는 것만큼 상승률이 꺾이거나 그런 분위기는 아닌 것 같아요. 이런 불안 요소가 지금 미리 반영되었을 것 같은데 미국 증시는 오늘 어땠습니까?방금 장 마감한 걸 좀 살펴보면, 다우지수는 0.61%, S&P500은 0.92%, 나스닥은 0.95% 떨어졌습니다.지난달 미국 물가상승률이 8.6%였는데요, 이것보다 높은 8.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에 많이 찾으면서 한 업체 2분기 판매량은 1분기보다 30% 가까이 늘었습니다.한 장보기 앱에서는 12개월 장기 보관하는 냉동 김밥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가끔 편의점 가서 도시락 먹을 수 있고, 햄버거도 사 먹을 수 있잖아요. 그런데 이게 내가 가끔 가서 사 먹는 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매일매일 이래야 한다면 이건 또 다른 얘기인 것 같습니다. 이런 게 늘어난다는 게 반가운 소식은 정말 아니네요. 그런데 더 나아가서 아예 도시락까지 준비하는 분들도 있다면서요.유튜브에는 저렇게 직장인 일주일 치 도시락 만드는 영상이 큰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고요. 인터넷 카페에는 도시락 인증샷이 올라오기도 했습니다.도시락 관련 상품도 매출이 크게 뛰었는데요, 최근 3개월간 도시락통과 도시락용 수저세트가 각각 50%, 60% 증가했고요.또 날씨 더워져서 음식 상하니까 도시락을 넣어 다닐 보온, 보냉 기능 가방과 미니 아이스팩도 각각 60%, 9% 늘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치솟는 물가 대응 0.5%p↑ 빅스텝 가나…오늘 기준금리 결정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13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합니다. 치솟는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한꺼번에 0.5%포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치솟는 기름값에 가짜 석유 유통 '기승'…불법 주유업자 무더기 검거한때 리터당 2천2백 원대까지 치솟으며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기름값.정부가 '유류세 추가 인하' 카드를 꺼내면서 9주 만에 살짝 꺾..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장면·치킨마저...치솟는 물가에 외식도 무섭다[앵커]자장면과 치킨.대표적인 서민 외식 메뉴지만, 최근 가격이 부쩍 치솟고 있습니다.밀가루와 식용유 등 주재료 가격이 유난히 많이 오르다 보니 그만큼 가격 상승 압박이 큰 건데요.끝 간 데 모를 외식 물가 상승에 소비자와 자영업자들 모두 한숨만 늘고 있습니다.김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늘 금통위…치솟는 물가에 사상 첫 '빅스텝' 임박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김유아 기자=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3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현재 1.75%인 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할당 관세 0%' 밥상 물가 내려갈까...국내 농가는 반발[앵커]최근 무섭게 치솟는 물가 대책으로 정부가 소고기와 닭고기 등 7개 품목에 대해 할당 관세 0%를 적용하는 방안을 내놓았습니다.하지만 이미 7개 품목을 비롯해 먹거리 가격 대부분이 큰 폭으로 오른 터라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데요.국내 농가는 무관세 정책에 반발하고 있습니다.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가 대책에도 효과는 '글쎄'...믿을 건 금리 인상뿐?[앵커]물가는 24년 만에 6%를 찍었고 정부는 연이어 민생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그리 호의적이지 않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기댈 수 있는 건 기준금리 인상인데, 물가를 억제하는 효과만큼 부작용도 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권남기 기자입니다.[기자]24년 만의 6%대 물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