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미래에셋 재테크콘서트AI반도체 年50% 폭발적 성장엔비디아 독보적 존재감 과시하반기 국내주식 비중 줄이고美빅테크·채권투자 병행 추천
美빅테크·채권투자 병행 추천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등 인공지능 관련주가 이미 많이 올라 당장은 실적 대비 비싼 건 맞지만 앞으로 실적이 개선돼 오히려 싸질 겁니다. 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감안하면 지금 AI 관련주를 사도 늦지 않습니다." 이상원 미래에셋증권 선임연구원은 5일 성남시 분당구 판교테크원빌딩 콘퍼런스룸에서 열린 '2023 매경과 함께하는 재테크 콘서트'에서 미국 빅테크, 특히 AI 관련주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하반기 국내 주식투자 비중을 줄이고 미국 빅테크 주식과 채권투자를 병행하는 전략을 취하면 연 6~8%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이날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과 AI 산업 전망'을 주제로 열린 투자설명회에서"AI 테마는 올해 초 막 시작한 것에 불과하며 향후 애플의 스마트폰이 세상에 끼친 것과 버금가는 영향력을 지닐 것"이라며"실제로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는 2분기 실적발표에서 AI 관련 반도체 수요가 향후 3년간 연간 50%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말했다. 대다수 개인투자자들이 AI 관련주가 이미 너무 많이 올라 투자가 고민이라고 하지만 이 연구원은 지금도 투자하기에 늦지 않았다고 조언했다. 내년부터 AI 관련주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돼 주가가 실적 대비 오히려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현재 엔비디아의 주가수익비율은 119배지만 향후 이익 성장을 감안한 12개월 선행 PER은 30배로 뚝 떨어진다"며"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도 PER이 각각 33배, 29배지만 선행 PER은 25배와 20배로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PER은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밑에 단계 회사에 눈을 돌리는 전략도 유효할 것이라고 이 연구원은 밝혔다. 그는"어도비,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트레이드데스크 등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종목들의 주가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AI 관련주 중에서는 엔비디아가 향후 2년간 독보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엔비디아의 2분기 데이터센터 관련 매출액이 100억달러로 AMD의 13억달러 대비 8배가 더 많다"며"3분기에는 이 차이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AI 개발자들이 이미 10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쿠다 비중이 AI 시장에서 90%가 넘어 다른 AI 기업들이 엔비디아 생태계를 벗어나는 게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엔비디아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빠가 보내준 머리털 한 가닥, 나는 아직 유효하다[역사 논픽션 : 본헌터㉑] 오빠의 환청엄마 품에 안겨 끌려간 나, 돌쟁이 주화는 지금 어느 산 어느 구덩이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아세안·G20 순방 출발···5박7일 인도네시아·인도 방문윤석열 대통령은 5일 인도네시아·인도를 차례로 찾는 5박7일 순방길에 올랐다. 인도네시아 자카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트트릭’ 손흥민, BBC 이어 EPL 공식 베스트 11 선정해트트릭을 터뜨린 손흥민(토트넘 홋스퍼)이 리그 공식 주간 베스트 11에 올랐다. 손흥민은 4일(현지시각) 잉글랜드 프리미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코프로비엠보다 더 올랐다…시총 100위에서 10위로 뛴 종목은이차전지, 인공지능(AI)의 바통을 이어받아 최근 로봇 테마주가 들썩이고 있다. 대장주격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가면서 연초 코스닥 시가총액 100위권에서 현재 10위권으로 뛰어올랐다. ‘조 단위’ 대어인 두산로보틱스가 내달 유가증권시장 입성을 앞두고 있는 데다 삼성과 한화 등 대기업의 로봇사업 진출 기대감에 로봇주 주가가 브레이크 없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재선 걸림돌 된 나이…유권자 73% '너무 늙었다'이번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각각 46%의 지지율을 얻으며 동률을 기록했다. 반면 77세로 바이든 대통령보다 3살 아래인 트럼프 전 대통령의 나이를 문제 삼은 응답자는 47%였다. 응답자의 약 40%는 바이든 대통령의 업적을 높게 샀지만 그보다 11%포인트 많은 51%의 응답자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업적을 이뤘다고 봤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식이 좋은 건 알겠는데 실천은 너무 어렵다암 환자가 되어 '어떻게 먹느냐'를 고민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