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지방 대학 중에는 유학생 비율이 절반에 달하는 곳도 있다.
16일 교육부가 발표한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은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방대 유학생 유치를 도와 모집난을 해소하고, 이들의 지역 정주를 지원해 인력난까지 해결한다는 취지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지방대는 학령인구 감소로 모집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한편에선 국내에 빈 일자리가 20만개 정도가 지역의 중소기업이나 농어촌에서 발생한다”며 “두 가지 고민을 접목한 게 이번 스터디코리아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대학원 과정은 외국인 비율이 50%가 넘는 곳이 15개교나 된다. 세한대, 예원예술대, 우송대, 추계예술대, 우석대 순으로 유학생 비율이 높았다. 특히 인문사회계열은 90%가 넘는 학생이 유학생인 곳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교육계에서는 정부가 유학생 양을 늘리겠다고 하지만 질을 관리할 방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대학의 국제화 인증제를 개편하겠다면서 유학생에게 요구하는 각종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 특히 입학 시 한국어능력시험 성적 3급 이상을 받은 유학생이 30% 이상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유학생이 많은 한 수도권 대학의 한 전직 총장은 “우리 학교는 중국인들이 많이 오는데, 그 중에는 학업 욕구가 크지 않은 학생도 적지 않다”며 “언어 소통이 안되고 성적도 좋지 않은 유학생이 많아지면 내국인 학생에게는 ‘프리라이더’같은 존재로 인식된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