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상륙한 태풍 중엔 가장 강한 편으로, 전례 없는 수준의 강도가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북태평양고기압에 밀려 예상보다 남쪽으로 내려간 태풍 '힌남노'는 이달 1일 '초강력'에서 '매우 강' 수준으로 세력이 약화됐다. 북상을 준비하며 대만 남동쪽에서 정체하던 힌남노는 또렷하게 보이던 태풍의눈도 사라졌고, 중심 기압도 다소 높아지면서 구조가 살짝 흐트러지는 모습도 보였다.
제11호 태풍 힌남노 이동 경로와 4일 오후 3시 기준 위치, 앞으로 이동 예상 경로. 짙은 파란색은 초속 25m 강풍반경을, 옅은 파란색은 초속 15m 강풍반경을 의미한다. 기상청 제공 그러나 3일 그만큼 우리나라에 강해진 상태로 들어오며 엄청난 강도의 바람과 비를 뿌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4일 이광연 기상청 예보분석관은"태풍이 살짝 약해진 상태에서도 주변 섬에 끼친 영향을 보면 대단히 강력한 수준이었다"며"힌남노가 얼마나 더 강해져 우리나라로 들어오는지도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부분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태풍이 일본 오키나와 부근에서 남서진하며 약해진 이유는 '용승' 작용이 강했기 때문이다. 용승이란 태풍의 강한 바람이 바닷물을 위로 끌어올리면서 아래에 있던 차가운 바닷물이 위로 올라오고, 이 때문에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뜻한다. 태풍이 에너지를 얻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는 의미다. 태풍이 세고 강할수록 용승 작용도 활발히 일어난다. 힌남노의 이동 방향도 세력 약화에 영향을 줬다. 기상청 관계자는"저기압 순환에 의해 태풍이 남쪽으로 향할 때는 약간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뜨거운 수증기도 꾸준히 공급되고 있다. 남쪽에서 인도양과 남중국해를 기원으로 하고 있는 고온다습한 수증기가 같은 통로로 공급되면서 태풍의 재발달을 돕고 있기 때문이다. 이광연 예보분석관은"남쪽의 수증기와 고수온 해역이 태풍의 재조직화를 지원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힌남노는 북상 과정에서 중심 기압 최저 920헥토파스칼, 중심 최대풍속 초속 54m까지 기록한 뒤 북위 30도 선을 넘으면서 편서풍 영향을 받아 조금씩 약화하며 우리나라를 직격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심기압 950hPa 수준으로 약화하더라도 우리나라에 상륙한 태풍 중엔 가장 강한 편으로, 전례 없는 수준의 강도가 예상되는 만큼 제주도와 남해안, 경상권 동해안 등 주요 지역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댓글 쓰기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힌남노' 북상] 태풍 대비법 총정리…'널리 공유해주세요'제11호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다가오고 있습니다. 태풍의 강도는 '매우 강'인 상태며 우리나라를 향해 다가올수록 점차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태풍 '힌남노' 최고 단계 대응 태세' 재차 지시윤석열 대통령은 제11호 태풍 '힌남노'와 관련해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선제적 가동을 포함해 최고 단계 태풍 대응 태세를 갖출 것을 다시 한번 지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대통령 '태풍에 완벽히 대응…先조치 後보고 하라' 지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4일 태풍 '힌남노'와 관련, '정부가 한발 앞서 더 강하고 완벽하게 대응해달라'고 지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대통령 '태풍에 선제적 완벽대응…先조치 後보고' 지시(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4일 태풍 '힌남노'와 관련, '정부가 한발 앞서 더 강하고 완벽하게 대응해달라'고 지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미·루사'보다 더 센 '힌남노'...피해 막으려면?지난 2003년 9월 태풍 ’매미’ 130명 사상자 발생 / 태풍 ’루사’…사상자 246명·재산피해 5조 ’역대급’ / 집중 호우·돌풍 우려…'외출 자제, 집 머물러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힌남노 '폭풍 해일' 우려...왜 발생하나?[앵커]지금 경남 남해안 지역은 비바람도 비바람이지만 '힌남노'가 몰고 올 수 있는 폭풍 해일도 초미의 관심사입니다.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한 해일 피해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태풍이 몰고 온 10m 높이의 파도가 해안가 아파트를 덮칩니다.해안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