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시민단체, 단재연수원 블랙리스트 진실 규명 촉구... 교육청 "사실과 다르다"
지난 4월, 충북경찰청 조사와 충북교육청 자체 감사에서 '블랙리스트가 아니다'라는 결과가 나오면서, 단재연수원의 블랙리스트 논란은 흐지부지됐었다.도 의원은"2022년 강사 풀 현황에서 삭제할 강좌명은 붉은색, 교체할 강사명은 노란색으로 음영 처리했다"며"동일 강좌에서 특정 강사만 배제된 경우가 14개 강좌 19명으로 외부 강사, 충북의 현직 교장, 장학사, 교사 등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충북교육청 블랙리스트 사태 해결을 위한 연석회의는 25일 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교육감이 블랙리스트 명단 작성을 지시하고 연수원 운영 규정에 어긋난 반복적인 개입과 압력을 통해 배제와 차별을 한 행위는 심각한 직권남용이며 헌법 유린"이라며 윤건영 교육감에게 진실을 촉구했다.
블랙리스트 의혹을 폭로한 단재연수원 김상열 전 원장도 기자회견에 참석해"동일 강좌에서 특정 강사만 음영이 들어가 있다. 국감에서도 나왔지만 14개 강좌에서 19명의 강사가 그런 식으로 음영 처리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어떤 교육감이 되든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직무 관련 연수강좌에도 음영 처리된 것이 10여 건 있다. 이것은 누가 봐도 강사를 배제하기 위한 음영처리라고 볼 수밖에 없다"며"충북교육청은 이 부분을 명쾌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연석회의는"국회는 청문회를 진행하여야 하며 교육부는 감사를 신속히 진행해 블랙리스트 작성을 누가 지시하고 누가 작성·배포했는지 진실을 밝히고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충북교육청은 연석회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 자료를 발표했다. 반박 근거는 총 세 가지다. 도교육청은 충북경찰청으로부터 블랙리스트가 아니라고 통보받았고, 국감에서 윤 교육감이 답변을 하지 않은 것은 답변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모니터단 활동은 사찰이 아닌 요약일뿐이라는 주장이다.
도교육청은"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블랙리스트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것은 교육 행정력 낭비이며 이에 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에게 돌아간다"며"충북교육청은 감사원 감사를 받아서라도 제기된 의혹이 밝혀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북인뉴스에도 실렸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회 과방위 국감 ‘넷플릭스 증인’ 채택 무산 놓고 뒷말, 왜?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여야 합의 불발로 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를 출석 증인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돈봉투’ 이정근 “난 심부름꾼에 불과··· 강래구가 사실상 송 캠프 총괄”이정근 전 더불어민주당 사무부총장이 ‘돈봉투 의혹’의 핵심 인물은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의혹 묻자…김동연 “소가 웃을 일”국힘 쪽 ‘김혜경 법카 의혹’ 들먹이자민주당 “경기도의회 가서 해라” 설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원석, ‘이재명 수사’ 검사 비위 의혹에 “고위 검사도 아닌데”‘이 대표 수사’ 총괄 차장검사 재계 유착 의혹 일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씨 고소장’이 대검 업무용 컴퓨터에…가족 의혹 방어용?‘고발사주 의혹’ 대검 수정관실 검사 심문증인 출석 검사는 증언 거부로 일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돈봉투’ 얼마 들었나…이정근 “100만~500만원” 법정진술2021년 민주당 경선 돈봉투 의혹 재판300만원 vs 100만원 주장 엇갈리는 상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