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에 번지는 ‘AI의 일상화’
성균관대 영상학과 이혜민 교수가 지난 학기 강의에서 낸 과제다. 그림을 그리는 생성형 AI ‘달이’나 ‘미드저니’를 이용해 작품을 만들어 보라는 주문이었다. AI와 학생들의 ‘협업’ 결과는 톡톡 튀었다. 한 학생은 즐겨 쓰는 향수를 글로 표현하고 이를 AI가 그림으로 그린 작품을 제출했다. 군인, 범죄자, 우주비행사 등 수십 개 직업으로 변신한 학생의 모습을 AI가 그려낸 것도 있었다. 수업에 참여한 한 학생은 “AI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르게 다작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예술가의 개념이 개발자나 엔지니어로 확장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동화책이나 영화 시나리오도 순식간에 만들어졌다. ‘착하고 용기 있게 살아야 한다는 내용의 동화’를 챗GPT가 스토리로 만들고, 그림 AI가 삽화를 그렸다. 이혜민 교수는 “이제는 작품 활동에서도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명령어를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한 시대”라고 설명했다.
“AI 사용으로 학습 효율성 높아졌다” 건국대 정보통신대학원 정승익 교수는 지난 학기 전자공학과 강의에서 챗GPT 답변을 필수로 포함한 에세이를 제출하게 했다. 강의 계획서에는 “챗GPT를 활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감점하겠다”는 내용이 들어있었는데, 그 계획서 역시 정 교수가 챗GPT를 써서 작성했다고 한다. 정 교수는 “강제해서라도 챗GPT 활용법을 트레이닝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챗GPT 도움을 받으니 전자공학도에겐 생소할 수 있는 예술 전문 용어를 활용한 에세이도 제출됐다”고 했다. 생성형 AI 도입이 교육 환경을 바꿀 수 있다는 게 대학가의 전망이다. 정승익 교수는 “그동안 교육이 답 찾기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좋은 질문을 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혜민 교수는 “AI 시대에는 AI 리터러시를 갖춰야 한다. AI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AI가 만든 결과물을 잘 해석하는 능력도 필요하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교사 학생생활지도는 ‘정서적 아동학대’ 배제?…아동학회 “반대”“교사 무고수단 활용 안 되지만특정영역 무조건적 배제 안 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네시스 누적 판매량 100만대 돌파2015년 11월 브랜드 출시 뒤 7년10개월만GV80 후속 모델 GV80쿠페 올해 안 출시 예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푸틴, 북한군 우크라 투입 강력 부인…“말도 안 되는 소리”벨라루스 대통령과 회담서 밝혀“어떠한 대북 제재도 위반 안 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골프장 개발 위해 팔색조를 내쫒는가거제 노자산 골프장 개발지 팔색조 둥지 36개 조사 안 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살아서 싸워야 할 것” 요구 줄이어…일부 의원은 ‘동조단식’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을 요구하며 지난달 31일부터 단식 중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단식 중단’ 요구가 당 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이번엔 국방장관 실종 미스터리... 무슨 일 있나리상푸 국방부장, 2주 넘게 모습 안 보여... 미 당국자 "해임된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