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세나 앵커■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 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김광석>항상 환율이 급격히 치솟는 구간. 그러니까 급격히 치솟을 수도 있고 점진적으로 상승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급격히 치솟는 구간은 항상 뭔가 굉장히 큰 이슈가 등장할 때입니다. 바로 중동 전쟁이라는 공포감이 등장할 때예요. 이 공포감을 느낄 때, 앵커님께 한번 질문 드려볼까요? 공포감을 느껴요. 돈을 안전하게 지키고 싶어요?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싶어요?◆김광석>그렇습니다.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집중되다 보니까 가장 대표적인 안전자산 격인 금이나 달러 선호현상이 집중되는 것이고 달러를 선호하다 보니까 강달러 현상이 야기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김광석>맞습니다. 유독 아시아가, 그러니까 강달러 현상은 이해가 되는데 왜 유독 다른 나라들보다 우리나라의 통화 가치가 더 절하될까? 이것을 질문을 많이 주신단 말이에요.
다른 말로 거시경제 건전성입니다. 그러니까 상대적으로 다른 비교 대상국들보다 우리나라는 부동산 PF다, 아니면 4월 위기설이다, 정치적 불안이다, 이런 여러 가지 현안들이 또 많이 빼곡하게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투자자들로 하여금 덜 매력적으로 느끼는 거죠. 이왕이면 한국의 원화로 갖고 있던 돈을 이왕이면 달러로 바꾸자라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김광석>일단 다른 어떤 때보다 2022년, 23년, 24년 이 3년 동안에 가장 중요한 경제적 숙제는 물가 안정입니다. 그러니까 물가라는 측면에서 환율을 생각해 본다면 가뜩이나 국제유가나 원자잿값이 오르는 국면이에요. 그게 2차 인플레이션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만약 강달러까지 가미된다면 올라간 원유를 더 많은 돈을 주고 사오게 되는 거예요. 쉽게 말하면 강달러와 국제유가 상승이 같이 만나면 수입물가가 정말 고공행진할 수밖에 없고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중동 지역 전체 불바다 우려...세계 경제 최악 맞이할 것' [Y녹취록]■ 진행 : 차정윤 앵커■ 전화연결 : 박현도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제 공은 네타냐후에게...제2의 중동 화약고 되나 [Y녹취록]■ 진행 : 정진형 앵커, 조예진 앵커■ 출연 : 서성교 건국대 특임교수, 유용화 한국외대 초빙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3.50%로 또 동결여전한 3%대 물가…예측 불확실성도↑ 중동 불안…유가 100달러 돌파 전망 나와 美경제 여전히 강해…금리 인하 기대 후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위공직자 평균재산 19억…첫 신고 가상자산은 억대 보유 8명대통령실·중앙부처·유관기관부동산 하락에 4524만원 줄어尹대통령 부부 재산 2억 감소기재부 최지영차관보 494억 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 넘봤던 한전채 금리, 3%대까지 ‘뚝’발행한도 목끝까지 차 추가 발행 제한 기대감 금리 하락에 가격은 상승 고금리 이자수익도 ‘쏠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도 버튼 누른 나, 어쩔수 없는 개미인가봐”…한국도 일본도 다 던졌다1분기 개인·외국인 매매 보니 짧은 상승 ·긴 하락에 지친 개미 코스피 오르자 대거 팔아치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