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전공의들의 집단이탈이 시작된 2월과 직후인 3월 사망한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수가 1년 전보다 375명이나 늘어...
김성민 기자=전공의 집단행동이 한 달간 이어지고 있는 19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중환자실 인근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3.19 ksm7976@yna.co.kr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윤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올해 2월 중환자실 입원자 2만8천665명 중 사망자는 3천548명으로 사망률은 12.4%였다.올해 3월 사망자 수는 3천644명으로 입원자 수 대비 사망률은 12.1%였다. 사망자 수는 작년 3월과 비슷했으나 사망률은 작년 11.2%보다 0.9%포인트 상승했다.다만 사망률은 4월과 5월 11.1%와 11.2%로 작년 대비 각각 0.1%포인트 감소했다. 2~5월 사망률은 11.7%로, 작년 동기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의료기관 종별로 응급실 입원환자 사망률을 살펴보면 올해 2월의 경우 작년 동기보다 빅5병원이 1.6%포인트, 상급종합병원이 1.3%포인트, 종합병원이 0.8%포인트, 병원급이 4.8%포인트 상승했다. 3월에는 빅5병원 2.2%포인트, 상급종합병원 0.4%포인트, 종합병원 1.1%포인트 등으로 상승했고, 병원급은 0.4%포인트 각각 전년 같은 기간보다 줄었다. 전공의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반발해 지난 2월 20일을 전후해 의료 현장을 집단 이탈했다. 중환자실 사망률 증가에는 이런 의료공백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지만, 기온이나 감염병 유행 등 다른 요인도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 의원은"중환자실 의료인력이 줄어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아야 할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받지 못한 것으로 추정한다"며"비정상적으로 저평가된 중환자실 수가 정상화를 기반으로 중환자실 전담 전문의 확충 등 인력, 장비, 시설, 운영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는"중환자실 사망자 수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질환, 연령 등 매우 다양하며, 실제로 매년 중환자실 입원환자 중 사망자 비율은 변동이 있다"면서"초과 사망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신중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일부 수치를 근거로 단정적으로 해석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중환자실 사망자, 전공의 이탈 전후로 작년보다 375명 늘어”전공의들의 집단이탈이 시작된 올해 2월과 그 직후인 3월 중환자실 입원환자 중 사망한 이의 수가 전년 동기보다 375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2월 중환자실 입원자 2만8665명 중 사망자는 3548명으로 집계됐다. 사망률은 12.4%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0년만의 최강 태풍에 베트남 59명 사망·실종…철교 붕괴(종합)30년만의 최강 태풍에 베트남 59명 사망·실종…철교 붕괴(종합) - 5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스라엘 이틀째 '북쪽의 화살' 작전…레바논서 558명 사망(종합)이스라엘 이틀째 '북쪽의 화살' 작전…레바논서 558명 사망(종합) -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셋값도 100억 넘겼다 서울 초고가 거래 '훌쩍'100억이상 매매 작년比 3배↑나인원한남 220억으로 신고가전체 시가총액도 35조원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북 제천 교통사고 환자, 90km 넘는 안동병원까지 이송2명 사망 2명 부상...병원은 네 곳으로 각각 이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9월 고용 25만4천명 '깜짝 증가'…연준 '빅스텝' 기대 소멸(종합)(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미국의 9월 신규 일자리 증가 폭이 예상 수준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