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에서 입시 제도는 어떻게 변할지, 입시 학원가는 어떤 대비를 하고 있는지 등을 정리해봤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교육 공약에는 특별한 '브랜드'가 없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자유학기제, 문재인 정부의 고교학점제처럼 과거 정부 때 없던 교육 정책을 새로 내놓은 게 없다는 말이죠. 새 교육 공약을 밀어붙이다 학생‧학부모들에게 혼란을 주기보다 기존 보수 정권이 실시했던 정책들을 되살리거나 강화해 공정한 입시제도를 만들려고 합니다.
정시를 얼마만큼 늘릴지 현재로선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7월 꾸려지는 국가교육위원회에서 숙의를 거칠지, 다른 창구를 통해 국민 여론을 수렴할지조차 알 수 없죠. 다만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대학 신입생 모집 정원의 60% 이상을 정시에서 선발하도록 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입니다. 실제 대학들이 정시로 이 정도 비율을 선발한다면 대입의 판도는 확실히 바뀔 듯합니다.정시 확대... 상위권 대학 '수능 무력화' 역효과 낼 수도서울대 정문. 서울대는 2023학년도 신입생 모집정원 중 40%를 정시로 선발하면서 정성평가인 '교과평가'를 도입하기로 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지난달 31일 공개된 서울대 2023학년도 신입생 모집요강을 보면 정시에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과 비슷한 '교과평가' 항목을 넣었습니다.
공약에 직접 담지는 않았지만,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였던 자사고‧특목고 폐지는 윤석열 정부에서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윤 당선인이 유튜브 방송이나 언론 인터뷰에서"학생들의 선택권을 위해 고등학교가 다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데다, 윤 당선인과 공동 정부를 만들기로 한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도 후보 때 '외고·자사고 폐지 전면 백지화'를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국회 동의 없이 백지화가 가능하다는 점도 이런 전망에 힘을 싣죠. 문재인 정부는 외고·자사고·국제고를 2025년 3월 일반고로 전환하기 위해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고쳤는데, 새 정부는 이 시행령만 원래대로 되돌리면 됩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고3 아들, 중3 딸을 키우는 이모씨도"둘째의 자사고 원서를 쓸지 말지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반반"이라면서"자사고 폐지 예고에 인기가 시들했는데 만약 다시 계속 유지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고교학점제와 맞물려서 자사고 커리큘럼이 일반고에 비해 탁월하다면 고려해야 하지 않겠나 고민 중"이라고 말했습니다.사실 현재와 같은 수능제도가 2027학년도까지 확정됐기 때문에 중학교 2학년까지 대학 입시의 큰 틀은 확정된 것과 같습니다. 정시 비중이 늘든, 지금과 같든 고교 내신과 학생 성향을 감안해 모집 분야를 정하면 됩니다. 중2 학생들이 재수만 하지 않는다면요. 고교학점제와 맞물려 진행 중인 교과서 개정, 그에 맞춰 바꿀 새 수능제도는 2024년에 발표해 중1 학생들이 수능을 보는 2028학년도부터 적용됩니다.
서울 방배동에서 초등 4학년 아들을 키우는 30대 우모씨는"아이를 문화센터에서 하는 코딩 수업에 보낸 적 있다"면서"놀다 오는 수준인데도 제가 이해를 잘 못하겠더라"고 말하더군요. AI가 이공계 전공자가 아니면 접하지 않았던 신산업 분야이고, 알면 취직도 잘된다는데 학교 교육에 들어온다고 하니 일단 자녀에게 가르쳐 본 겁니다.'학원가 공갈 마케팅' 기승 전에 입시 확정해줘야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경제 1·2분과, 과학기술교육분과 업무보고 회의에 참석해 안철수 인수위원장의 모두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석열 '검수완박' 질문에 '난 국민 먹고사는 것만 신경쓸것''형사사법제도는 법무부하고 검찰하고 하면 된다'\r윤석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당선인, 새 정부 내각 인선 최종고심윤석열 당선인은 주말인 오늘 새 정부 내각 진용을 고심하며 비공개 일정을 소화합니다. 윤 당선인 측은 '내일로 목표했던 인선 발표를 위해 늦은 밤까지 내부 검토가 계속될 것으로 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어퍼컷'과 최동원 세리머니 연결한 국제신문'부산하면 야구, 야구하면 최동원', '부산검찰청 창문을 열어 놓으면 사직야구장 응원소리가 들리고'와 같이 부산과의 연결고리로 야구를 강조하는 구태 정치를, 말 그대로 식사 자리의 스몰토크 정도로 적합한 내용을 지역신문에서 그대로 전달했어야만 했는지는 의문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국 “제 딸 입학 취소, 윤석열 당선인 만족하시나”···윤 당선인 측 “그걸 왜 당선인에게 묻나”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8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부산대와 고려대가 각각 제 딸의 입학을 취소했다”며 “아비로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에게 ‘이제 만족하시냐’ 묻고 싶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