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1년 이하의 전자단기사채회사채 발행 힘든 기업들 활용
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말 일반 전자단기사채 발행잔액은 28조9719억원으로 매월 말 기준으로 올해 1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난 8월 말 20조632억원으로 전달 대비 줄어들었지만 9월 말 25조100억원으로 올라 두 달 연속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단채는 금융기관이나 일반 회사가 발행하는 1년 이하 단기 사채다. 실물로 발행하는 기업어음보다 조달이 더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신용도가 비교적 낮은 기업이 주로 찾는 자금조달 통로인데 최근 들어 회사채 시장이 위축되며 발행이 늘어났다. 현재 기업들의 차환 수요가 높은 상황이지만 회사채 발행 부담이 커졌다.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이달 만기가 돌아온 일반 회사채는 6조1000억원에 이른다. 11월에는 3조6500억원, 12월에는 9000억원이 만기를 맞는다. 신용도가 우량한 기업은 통상 3~5년 중장기 자금인 회사채로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시도할 수 있지만 비우량 신용도를 보유했거나 현금성 자산이 적은 기업은 단기 금융시장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위원은"신용도가 좋은 기업은 은행 대출로 조달하기도 하지만 단기 자금으로 '당장 버티자'는 전략을 택한 곳이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이 발행하는 전단채가 늘어나며 투자 수요도 커지고 있다. 전단채는 비교적 금리가 높고 만기가 짧아 고액 자산가 등에게는 인기가 많다. 확정금리가 적용되고 만기는 짧으면 3개월 이내여서 여윳돈을 굴리기에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 빚들, 언제 다 갚나”…1년 새 청년 다중채무자 4만명 늘었다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 46만명 가계대출 연체율 전 연령층 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기도 쓸 수 있네”…대한항공 마일리지 사용처 확대올해 마일리지 사용량 2019년보다 74% 늘어 항공권 운임 복합결제 쇼핑몰 및 제휴처 확대 마일리지 항공권 할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례론 39조 쏟아부은 정부, 내년엔 신생아대출 27조 공급국회 예산정책처 내년 국토교통위 예산안 분석 국토부, 신생아 특례대출 26.6조 소요 예상 8.7조 직접 융자하고, 나머지는 금리 보전 “혼인신고 미루고 신생아 특례 받는 부작용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청신호' 뜬 'K반도체'...흑자 전환 기대감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에 매출 9조 원, 영업손실 1조 8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지난 2분기보다 매출은 24% 늘었고 적자 폭은 38%가 줄었습니다.[김우현 / SK...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