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추천! 더중플 ’ 에선 서울대에서 ‘죽음’을 강의하는 유성호 교수의 ‘죽음학’ 이야기부터 유언장 쓰는 법, 고인 사망 후 시기 별로 가족이 해야 할 일과 장례와 매장에 이르기까지 ‘죽음’에 관한 각 분야 전문가 5명이 전하는 이야기를 한데 모았다. 이장원(장원세무사 대표) 상속·증여 전문 세무사는 '부모님이 갑자기 돌아가셔서 황망하더라도 부모님 사망 시점부터 1개월, 3개월, 6개월, 9개월 사이에 시기 별로 해야 할 일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부모님 사망 1~9개월, 시기별로 자녀가 해야 할 일 「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죽음’에도 공부가 필요하다. 우리 모두 언젠가 생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어떤 죽음을 ‘아름다운 죽음’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행복한 인생의 마무리는 정말 가능할까. 10년 넘게 학생들에게 ‘죽음’을 가르치고, 법의학자로서 매주 시체를 부검해온 유성호 서울대 교수는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오늘의 ‘추천! 더중플 VOICE:세상을 말하다’ 에선 서울대에서 ‘죽음’을 강의하는 유성호 교수의 ‘죽음학’ 이야기부터 유언장 쓰는 법, 고인 사망 후 시기 별로 가족이 해야 할 일과 장례와 매장에 이르기까지 ‘죽음’에 관한 각 분야 전문가 5명이 전하는 이야기를 한데 모았다. ① 시신 1500구 부검한 법의학자, 유성호가 말하는 ‘행복한 죽음’ 지난 20년간 시체 1500여 구를 부검한 법의학자 유성호 교수가 생각한 죽음의 의미는 보통사람들과 다르지 않을까. 죽음이 ‘일상’인 그가 생각하는 죽음의 의미는 뭘까.SBS ‘그알’ 자문과 각종 방송·강연을 통해 법의학을 대중에 널리 알려 온 유 교수는 서울대에서 2013년부터 10년 넘게〈죽음의 과학적 이해〉라는 교양 강의를 맡아 청년들에게 ‘죽음’을 가르치고 있다. 강의 정원은 60명에서 시작해 지금은 100명을 훌쩍 넘겼다. 수강 신청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다고 한다. 20대 청년들은 왜 그의 ‘죽음학’ 강의에 몰려들까. 그가 죽음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를 오랫동안 연구하며 전하고자 한 건 무엇일까.
부검대 앞, 그는 자신을 “빛도 없이 등장하는 카메오” “지나가는 사람”이라고 칭했다. 그는 한 명의 ‘객)’으로서 말없이 누워 있는 고인들의 마지막 길에 어떤 도움을 주고자 했을까. “죽음을 통해 역설적으로 삶을 배운다”는 유 교수에게 죽음을 통해 무엇을 배웠을까.시신 1500구 부검한 법의학자…그가 깨달은 ‘행복한 죽음’② “함부로 쓰면 큰일” 유언장 작성의 모든 것 최근 유류분 제도가 위헌 결정을 받으며, 고인 의사와 상관없이 형제자매에게 일정 비율 이상 유산을 나눠줄 수도 없게 됐다. 고인의 유언장은 상속 문제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거로 예상된다. 최근 상속·증여·채무 문제로 ‘유언장 쓰기’에 관심을 갖는 이들도 늘었지만, 정작 유언장을 제대로 쓰는 법을 아는 이는 별로 없다. 내 재산이나 내가 소중히 여겼던 것들이 온전히 내 뜻대로 처리되게 하려면 유언장을 어떻게 써야 할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시신 1500구 부검한 법의학자…그가 깨달은 ‘행복한 죽음’지난 20년간 시체 1500여 구를 부검한 법의학자 유성호(52·서울대 의대 법의학교실) 교수를 만나 이렇게 물었다. 유 교수는 부검대에 올랐던 수천 명의 죽음을 마주하며 '삶과 죽음이란 찰나의 경계를 끊임없이 고민해 왔다'고 했다. 보통 의사와는 조금 다른 삶을 사는 의사, 법의학자로서 유 교수는 자신의 직업에서 무엇을 배웠을까. - 보이스,법의학자,유성호,부검,법의학,범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자 지구서 암매장 시신 수백구 발견... '이스라엘 답해야'대형 의료기관 앞마당에서 시신 300여 구 발굴... 국제사회 "경악·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길에서 만난 어르신들에게 '죽음'을 물었더니[고령화 시대, 웰다잉] "죽음 피하고 싶은 마음 없다, 준비하면 더 걱정될 것 같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침 뒤 저녁이 오듯, 삶이 가고 죽음이 온다[김성호의 독서만세 221]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욘 포세가 그린 삶과 죽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천 배다리 지역 상징 건물·이왕직 아악부 악보들, 등록문화재 된다인천의 근대 역사를 간직한 배다리 지역의 대표 건축물인 ‘인천 구 조흥상회’, 일제강점기 당시 이왕직 아악부가 편찬한 악보들이 국가등록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인천 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결혼 30주년, 퇴직 기념으로 떠난 동유럽 여행아드리아해는 아름다운 자연을 간직한 천혜의 바다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