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난도 문항'이 사라진, 달라질 올해 수능 시험일은 오는 11월 16일.
이른바 '공정한 수능'을 둘러싼 논란으로 교육현장의 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오늘 과연 어떤게 초고난도 문제, '킬러문항'인지, 구체적으로 지목해 공개했습니다.EBS 분석에선 이 문제의 정답률이 2.9%에 불과합니다.이런게 바로 앞으로 내지 않을 초고난도문제, '킬러문항'이라는 거죠.교육부의 기준은 어떤 거였는지, 먼저 박솔잎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정답은 1번, '인간들이 참여해야만 한다'인데, 예술가들이 현실을 추구하는 방법을 해석하고 추론할 수 있어야 답을 구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지문이 추상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고 빈칸을 포함한 문장의 구조가 복잡하여 영어 해석과 내용 이해를 어렵게 한다.
"정부는 철학 영역의 전문용어가 빈번히 사용되는데다 지문에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아 고난도의 추론이 요구된다고 지적했습니다.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아,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힌 학생들에게만 유리한 문제라는 겁니다.1994학년 수능이 도입된 이후 정부가 직접 특정 문항을 골라 문제삼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공정성과는 또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은 드는데‥ 지금 이런 문항이 출제되고 있다고 해서, 그 평가 자체가 사실 공정성을 잃었다거나...""반복 훈련해야만 풀 수 있는 어려운 문항이다 이런 표현을 쓰고 있잖아요. 정답률이 몇 프로냐 그런 기본적인 자료라도 냈으면은 국민들이 이해할 수가 있을텐데.."영상취재: 김경배 / 영상편집: 신재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킬러 문항’ 22개 콕 짚고 단속 강화…9년 만의 사교육 대책정부가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근본 원인으로 꼽았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킬러 문항’ 사례 22개를 공개하고,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 수능 문제 출제에서 배제한다’는 원칙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주호 장관님, 이게 정말 다 킬러 문항이 맞습니까?이주호 장관님, 이게 정말 다 킬러 문항이 맞습니까? 킬러문항 물_수능 사교육_대책 신정섭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일 사교육비 경감대책 발표‥'킬러문항' 기준 공개이달 초 실시된 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출제 문항에 문제가 있었다며 교육부의 담당 국장이 교체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도 사임했었죠. 초고난도 문항, 이른바 '킬러 문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킬러 문항 22개 공개‥'현직 교사 참여 확대'정부가 공정한 수능을 해치는 것으로 지목한, 이른바 국·영·수 과목 '킬러 문항' 22개를 공개했습니다. 이같은 문항을 앞으로 수능 출제에서 배제하고 출제와 점검 과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