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정치권이 7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내년 총선에 적용...
지난 총선 때 논란이 됐던 위성정당을 막는 데는 어느 정도 뜻을 모았지만, 구체적인 해법을 찾진 못했습니다.지역구에서 얻은 의석수가 각 정당의 득표율에 못 미치면, 비례대표에서 부족한 의석수를 채워주는 제도였습니다.[장동혁 / 국민의힘 의원 : 위성정당의 출현을 막지 못한다면 양당 체제의 아바타 정당만 또다시 양산될 것입니다.]위성정당을 통해 일단 추가로 의석을 확보한 뒤 본래 정당과 합당하는 과정을 거치는 이른바 '꼼수'가 난무한 겁니다.이후 거대 양당에 지나치게 쏠린 의석은 21대 국회 내내 극한 대치의 불씨가 됐고, 대선 등을 거치며 여야의 협치를 기대하는 건 더 어려워졌습니다.국민의힘은 지역구 선거 성적과 상관없이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만 의석을 나누는 '병립형 비례제'를 주장합니다.
[윤재옥 / 국민의힘 원내대표 :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당시에도 이 선거법을 강하게 반대해 왔고,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가는 데 대해서는 우리 당 안에서는 특별한 이견이 없습니다.]대신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눠 비례 의석수를 결정하고, 배분 방식은 기존의 '준연동형'을 적용하자고 제안했습니다.최다 득표자 1명만 당선되는 지역구 선거에서 크게 불리한 소수정당들도 '병립형'보단 '연동형'이 가미된 제도를 요구합니다.여야 모두 공개적으로는 민심을 강조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개편 방안을 놓고 다투는 이면엔 결국, '표 계산'이 깔렸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단 한 석이라도 더 얻기 위해 여야 모두 사활을 건 내년 총선에서 게임의 규칙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앞으로 협상 과정이 순탄치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염수 버리는데 가만히 있어라?' 나라 걱정에 촛불 든 시민들세종시민단체·정당,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 중단 촉구 시민행동 개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자와 정치인이 함께 한국의 위기를 진단한다중앙대 독일유럽연구센터 주관으로‘대한민국 대전환 위한 강연회' 개최내달 5일부터 7회에 걸쳐 진행교육·정치·불평등·기후 등 해법 논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2의 태영호 막는다…제주4·3 왜곡 대응 지원 조례 추진올해 들어 정치인과 정당·단체들의 4·3 역사 왜곡이 이어지는 가운데 제주도의회가 이를 사전에 막고 법적 대응을 지원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태일의 좋은 정부만들기] 고령사회 재정의 지속 가능성 해법요즘 내 나이 또래 중에 늙어서 자식 덕 보겠다는 사람은 거의 없다. 마찬가지로 젊은 세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 어려움에 공감” 무기한 단식 이재명, 요구는 대통령 사과와 오염수 반대검찰 출석 “단식 지장 없어”…‘이재명 체제’ 총선 의지 “가용한 자원 총동원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